언덕 골목길을 오르내리는 전차로 유명한 포르투갈의 수도 리스본은 영어로 Lisbon [ˈlɪz.bən] '리즈번', 독일어로 Lissabon [ˈlɪ.sa.bɔn, ––ˈ–] '리사본', 프랑스어로는 Lisbonne [lis.bɔnə → liz-] '리스본'으로 불리지만 포르투갈어 이름은 Lisboa [포르투갈: ɫiʒ.ˈbo.ɐ, 브라질: ɫiz.ˈbo.ɐ], 에스파냐어 이름도 Lisboa [liz.ˈβ̞o.a]이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리스본'의 원어 표기를 영어식으로 Lisbon이라고 하지만 외래어 표기법을 따지면 '리스본'은 오히려 프랑스어 Lisbonne을 따른 표기와 일치한다. 물론 '리스본'이 프랑스어에서 왔다는 것은 아니고 영어식 Lisbon을 철자식으로 표기한 것으로 비슷한 경우인 일본어 이름 リスボン Risubon '리스본'의 영향도 받은 관용 표기로 볼 수 있다.

이 지명은 고전 라틴어의 Olisīpō '올리시포'에 대응되는 속(俗)라틴어 Olisipona '올리시포나'에서 유래했다. 고대 그리스어로는 Ὀλισσιπών Olissipṓn '올리시폰' 또는 Ὀλισσιπόνα Olissipóna '올리시포나'라고 했다. 전통적으로 라틴어로 Ulixēs '울릭세스'라고 하는 그리스 신화의 인물 오디세우스(Ὀδυσσεύς Odusseús)와 관련된 지명이라는 설, '잔잔한 만(灣)' 또는 '안전한 항구'를 뜻하는 페니키아어
ʕLYṢ ʕBʔ (페니키아 문자를 넣으면 블로그 포스팅이 깨지는 기술적인 문제 때문에 이미지로 대체. 히브리 문자로 쓰면 עליץ עבא)에서 왔다는 설이 있었지만 민간 어원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보이며 실제 어원은 확실하지 않다. 타르테수스어(영어: Tartessian) 등 지금은 사라진 옛 언어에서 온 이름일 수 있다.
속라틴어의 Olisipona에서 모음 사이의 p가 b로 유성음화하고 무강세 음절의 모음이 탈락한 형태는 *Lisbona 정도인데 끝부분이 라틴어 bonus '좋은'의 여성형 bona와 형태가 같다. 포르투갈어에서는 라틴어 bona가 bõa를 거쳐 boa가 되었으며 프랑스어에서는 bona가 bonne이 되었는데 *Lisbona도 비슷한 발달 과정을 거쳐 옛 포르투갈어 Lisbõa를 거쳐 현대 포르투갈어로는 Lisboa가 되었고 프랑스어로는 Lisbonne이 되었다. 그런데 에스파냐어에서는 bona가 buena가 되었으니 에스파냐어의 Lisboa는 같은 뿌리에서 자체적으로 발달한 형태가 아니라 포르투갈어 형태를 딴 것으로 설명해야 하겠다.
2000년 12월 18일에 열린 제37차 정부·언론 외래어 심의 공동위원회 회의에서는 포르투갈어 Lisboa의 표기를 '리스보아'로 결정하였다. 물론 도시 이름으로는 관용 표기인 '리스본'을 계속 쓰되 포르투갈어 이름을 특별히 부를 일이 있을 때는 '리스보아'로 쓴다는 것이다.
한편 2003년 12월 17일에 열린 제55차 외래어 심의회에서는 동티모르의 초대 대통령 Xanana Gusmão (1946년 태생)의 표기를 '구스망, 샤나나'로 결정하였다. 이 이름은 포르투갈어 이름이다. 동티모르는 1975년까지 포르투갈의 식민지였으며 이듬해 인도네시아에 점령당하여 포르투갈어 사용이 금지되었지만 2002년 독립하면서 현지 공통어인 테툼어와 함께 포르투갈어를 공용어로 삼았다. 이런 역사로 인해 동티모르에서는 포르투갈어 인명이 많이 쓰인다. 포르투갈어로 Xanana Gusmão은 [포: ʃɐ.ˈnɐ.nɐ ɡuʒ.ˈmɐ̃ũ̯, 브: ʃɐ̃.ˈnɐ̃.nɐ ɡuz.ˈmɐ̃ũ̯]으로 발음된다.

Gusmão은 포르투갈어 성으로 에스파냐 북부의 지명인 Guzmán [ɡuð.ˈman] '구스만'에서 왔다. 에스파냐어 성으로도 Guzmán [ɡuð.ˈman] '구스만' 또는 de Guzmán [de.ɣ̞uð.ˈman] '데구스만'이 쓰인다. 네덜란드의 축구 선수 요나탄 더구스만(Jonathan de Guzmán)은 아버지가 한때 에스파냐의 식민지였던 필리핀 출신이라서 에스파냐어 성을 쓴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출전 선수명 표기 용례에는 네덜란드어 표기 규정을 적용한 '요나탄 더휘즈만'으로 실렸지만 네덜란드어에서도 에스파냐어 발음을 흉내내어 [ˈjoː.na.tɑn də.ˈɡus.mɑn]으로 발음하므로 이에 따라 '요나탄 더구스만'으로 쓰거나 아예 성에는 에스파냐어 표기 규정을 적용하여 '요나탄 데구스만'으로 적는 것이 좋다.
Xanana는 미국의 로큰롤 그룹 '샤나나(Sha Na Na)'에서 딴 별명이다. 포르투갈어의 x는 영어의 sh처럼 무성 후치경 마찰음 [ʃ]를 나타낸다.
외래어 심의회에서 Lisboa '리스보아'와 Xanana Gusmão '구스망, 샤나나'를 표준 표기로 결정했을 때에는 아직 외래어 표기법에 포르투갈어 표기 규정이 없었다. 2005년 12월 28일에야 네덜란드어, 러시아어와 함께 포르투갈어 표기 규정이 외래어 표기법에 추가되었다.
그런데 포르투갈어 표기 규정 제9항에서는 s를 무성 자음 앞이나 어말에서는 '스'로 적고 유성 자음 앞에서는 '즈'로 적도록 하고 있다. Lisboa의 b와 Gusmão의 m은 유성 자음이다. 그러니 포르투갈어 표기 규정을 적용하면 Lisboa는 '리즈보아'로, Gusmão은 '구즈망'으로 적는 것이 원칙에 맞다. 이 규정은 철자 s가 유성 자음 앞에서 유성음 [ʒ] (포르투갈) 또는 [z] (브라질)로 발음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2005년 포르투갈어 표기법 제정과 함께 발간된 《외래어 표기 용례집: 포르투갈어·네덜란드어·러시아어》에서는 Lisboa의 표기를 예전 결정과 마찬가지로 '리스보아'로 적고 '포르투갈의 수도인 '리스본(Lisbon)'의 포르투갈어 이름'으로 풀이하였다. 이 용례집에서는 표기법을 적용하지 않고 관용을 인정한 경우에 Rio de Janeiro '*리우데자네이루'와 같이 한글 표기 앞에 별표(*) 표시를 하였지만(포르투갈어 표기법을 적용하면 '히우지자네이루') Lisboa '리스보아'에는 별표 표시가 없다. 더구나 이 용례집에는 앙골라 지명인 Nova Lisboa가 역시 별표 표시 없이 '노바리스보아'로 수록되었다. Nova Lisboa는 '새 리스본'을 뜻하며 1975년 앙골라가 포르투갈로부터 독립한 뒤 본래의 이름인 우암부(Huambu [ˈwɐ̃m.bu])로 불린다. Xanana Gusmão은 이 용례집에 실리지 않았다.
그러니 포르투갈어 표기법이 새로 추가된 후에도 이에 따라 Lisboa와 Gusmão의 표기가 바뀌어야 한다는 사실은 간과되고 예전에 결정된 표기를 그대로 쓴 것으로 보인다. 재심의 대상에서 단순 누락된 것이다.
그러면 이처럼 헷갈리게 왜 새 포르투갈어 표기법에서는 유성 자음 앞의 s를 '즈'로 적도록 한 것일까? 이 규칙을 꼭 지킬 필요가 있을까? 물론 유성 자음 앞에서 s가 유성음 [ʒ] (포르투갈) 또는 [z] (브라질)로 발음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지만 비슷한 현상은 에스파냐어와 이탈리아어에도 나타나는데 외래어 표기법에 반영되지 않는다.
한편 isla /ˈis.la/, mismo /ˈmis.mo/처럼 음절말 /s/ 뒤에 유성음 /l, ʎ, m, n, ɲ, ʝ, w/ 등이 따를 때는 /s/가 유성음 [z]로 실현되기도 하고 [s]가 유지되기도 하는데, 보통 에스파냐에서는 [ˈiz.la], [ˈmiz.mo]와 같이 [z]로 실현되고 라틴아메리카에서는 [ˈis.la], [ˈmis.mo]와 같이 [s]가 유지된다. 에스파냐에서도 천천히 또박또박 말할 때는 [s]를 유지시켜 [ˈis.la], [ˈmis.mo]로 발음한다.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음절말 /s/가 유성 자음 앞에서 [z]로 발음되더라도 '스'로 표기를 통일하여 '데스데', '라스고', '이슬라', '미스모' 등으로 적는다. 외래어 표기법의 기본 원칙 가운데 하나는 '외래어의 1 음운은 원칙적으로 1 기호로 적는다'는 것인데 이에 따라 음소 /s/는 변이음 [z]로 발음되더라도 '스'로 표기를 통일한 것이다. 에스파냐어에서 [z]는 음소 /s/의 변이음으로만 나타나기 때문에 한글 표기에 따로 반영하지 않는 것이다.
한편 Guzmán의 z는 에스파냐 발음에서 원래 무성 치 마찰음 /θ/를 나타내며 라틴아메리카 발음에서는 /s/를 나타내는데 이것도 s /s/와 실현 양상이 비슷하다. 즉 에스파냐에서는 [ɡuð.ˈman]으로 흔히 발음되고 또박또박 말할 때는 [ɡuθ.ˈman]이며 라틴아메리카에서는 보통 유성음화 없이 [ɡus.ˈman]으로 발음한다. 그래서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구스만'으로 적는 것이다.
에스파냐어에서와 달리 이탈리아어에서는 /s/와 /z/가 각각 독립적인 음소인 것으로 보통 본다. 유성 자음 앞에서는 [z]만 쓰이고 무성 자음 앞에서는 [s]만 쓰이지만 모음 사이에서는 [s]와 [z]가 구별된다. 예를 들어 '보이다, 내놓다'를 뜻하는 presentare의 1인칭 단수 presento는 [pre.ˈzɛn.to], '예감하다'를 뜻하는 presentire의 1인칭 단수 presento는 [pre.ˈsɛn.to]로 발음하여 구별한다. 하지만 철자만으로는 구별이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언제 [s]를 쓰고 언제 [z]를 쓰는지도 방언과 화자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집'을 뜻하는 casa는 전통적으로 [ˈkaː.sa]로 발음되었지만 요즘에는 [ˈkaː.za]로 흔히 발음된다. 또 이탈리아 남부의 발음에서는 아예 모음 사이의 s를 모두 [s]로 발음한다. 그래서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이탈리아어의 s가 [s]인지 [z]인지 구분하지 않고 모두 'ㅅ', '스'로 통일해서 적는 것이다.
하지만 외래어 표기법을 따르지 않는 민간 표기에서는 [z]로 발음되는 s를 'ㅈ'으로 적는 모습도 간혹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식 이름인 lasagna [la.ˈzaɲ.ɲa], risotto [전통: ri.ˈsɔt.to, 현대: ri.ˈzɔt.to]는 각각 '라자냐', '리조토/리조또'로 흔히 적는다. 외래어 표기법을 따르면 각각 '라사냐', '리소토'로 적어야 한다. 사실 이탈리아어에서는 음식을 이를 때는 단수형 lasagna보다는 복수형 lasagne를 쓰므로 '라사녜'가 원어의 용법에 맞다(단수형 spaghetto 대신 복수형 spaghetti '스파게티'를 쓰는 것 참조). 하지만 미국 영어에서는 복수형 lasagne 외에도 단수형 lasagna가 음식 이름으로 흔히 쓰이게 되어 한국에서는 이에 따라 '라자냐'라는 형태로 널리 알려졌다. 아직 lasagne/lasagna의 표준 표기는 정해지지 않았지만 '라사녜'가 너무 생소하다면 '라자냐'를 관용 표기로 인정해도 별 탈은 없을 듯하다.
어중 음절말의 /s, z/는 뒤따르는 자음이 무성음이면 [ʃ] 또는 [s]로, 유성음이면 [ʒ] 또는 [z]로 발음된다.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유성 자음 앞의 s를 '즈'로 적도록 하고 있으므로 Francisco [포: fɾɐ̃.ˈsiʃ.ku, 브: fɾɐ̃.ˈsis.ku] '프란시스쿠', Gustavo [포: ɡuʃ.ˈta.vu, 브: ɡus.ˈta.vu] '구스타부'에서는 s를 '스'로 적지만 Lisboa [포: ɫiʒ.ˈbo.ɐ, 브: ɫiz.ˈbo.ɐ], Gusmão [포: ɡuʒ.ˈmɐ̃ũ̯, 브: ɡuz.ˈmɐ̃ũ̯]에서는 s를 '즈'로 적어 각각 '리즈보아', '구즈망'으로 쓰는 것이 원칙에는 맞다.
그런데 포르투갈어 표기법 제정과 함께 나온 용례집에서 브라질 지명 Venceslau Bráz [포: vẽ.sɨʒ.ɫau̯.ˈbɾaʃ , 브: vẽ.sez.ɫau̯.ˈbɾas]는 '벤세슬라우브라스'로 적는다. 또 2007년에 심의된 동티모르 인명에서 Estanislau [포: ʃtɐ̃.niʒ.ˈɫau̯, 브: i.stɐ̃.niz.ˈɫau̯]를 '*에스타니슬라우'로 적고 있다(어두 무강세 음절의 e를 표기법에 따른 '이' 대신 '에'로 적었기 때문에 관용 표기를 나타내는 별표를 쓴 듯하다). 포르투갈어 l은 유성음 /ɫ/을 나타내므로 표기법을 문자 그대로 따르면 각각 '벤세즐라우브라스', '이스타니즐라우'로 적어야 한다. 하지만 /s.ɫ/ 대신 /.sɫ/로 음절 구분을 달리하면 /s/가 더이상 음절말이 아니므로 무성음으로 유지되어 Venceslau [포: vẽ.sɨ.ˈʃɫau̯, 브: vẽ.se.ˈsɫau̯], Estanislau [포: ʃtɐ̃.ni.ˈʃɫau̯, 브: i.stɐ̃.ni.ˈsɫau̯]와 같이 발음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 그래도 실제 관찰해보면 예상대로 어중 sl의 s는 보통 유성음 [ʒ] 또는 [z]로 발음되는 듯하다.
포르투갈어 표기법에서 s는 포르투갈어 음운 규칙에 따라 /z/으로 발음되는 모음 사이에서는 'ㅈ'으로 적고 어중 유성음 앞에서는 '즈'로 적도록 했다. 그래서 Lisboa, Gusmão, Venceslau, Estanislau 등은 기존 용례에서 어떻게 적었든 표기법대로 각각 '리즈보아', '구즈망', '벤세즐라우', '이스타니즐라우'로 적는 것이 실제 발음에는 가깝다. 이 외에도 표기 용례에는 Cosmo [포: ˈkɔʒ.mu, 브: ˈkɔz.mu] '코즈무', Quaresma [포: kwɐ.ˈɾɛʒ.mɐ, 브: kwa.ˈɾɛz.mɐ] '쿠아레즈마'와 같이 표기법을 그대로 따른 것들이 있다.

하지만 과연 실제 발음과 가깝다고 해서 유성 자음 앞의 s를 '즈'로 적는 것이 최선의 선택일까? '리스보아', '구스망', '벤세슬라우', '*에스타니슬라우' 등의 기존 용례에서 이 규정을 지키지 않은 경우가 지킨 경우보다 많을 정도이니 자음 앞의 s는 '스'로 통일하는 것이 낫지 않을까? 다른 언어의 경우도 살펴보자.
그러므로 프랑스어에서 어중 유성 자음 앞의 s /s/는 '스'로 표기를 통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리스본의 프랑스어 이름 Lisbonne [lis.bɔnə → liz-]도 '리스본'으로 표기된다.
그런데 현 네덜란드어 표기법에서는 철자 s가 /z/를 나타내는 경우에도 'ㅅ', '스'로 적는다. 그러니 Doesburg [ˈdus.bʏrəx → ˈduz.bʏrəx] '두스뷔르흐', Ruysdael [ˈrœy̯s.daːl → ˈrœy̯z.daːl] '라위스달' 등의 어중 자음 앞 s는 보통 [z]로 실현되더라도 '스'로 적는다. 한편 Friesland [ˈfris.lɑnt] '프리슬란트', Tasman [ˈtɑs.mɑn] '타스만'에서처럼 유성 공명음 /l, m, n, r, ʋ/ 앞의 s는 언제나 [s]로 발음되며 Sven [ˈsfɛn] '스벤', misgaan [ˈmɪs.xaːn] '미스한'에서와 같이 s 뒤에 유성 마찰음 /v, ɣ/가 따르면 오히려 뒤쪽 자음이 /f, x/로 무성음화된다. 하지만 현 네덜란드어 표기법에서 앞뒤 자음에 의한 유성음화나 무성음화는 반영하지 않는다.
영어에서는 newspaper 외에도 transgender [ˌtɹæːnz.ˈʤend.əɹ, ˌtɹæːnts-] '트랜즈젠더/트랜스젠더', Wesley [ˈwɛs.li, ˈwɛz-] '웨슬리/웨즐리', Glasgow [ˈɡlæːz.ɡoʊ̯, ˈɡlæːs-, ˈɡlæːsk.oʊ̯] '글래즈고/글래스고/글래스코', jasmine [ˈʤæz.mᵻn, ˈʤæs-] '재즈민/재스민', Chrysler [ˈkɹaɪ̯z.ləɹ, ˈkɹaɪ̯s-] '크라이즐러/크라이슬러' 등 [z]와 [s] 발음이 혼용되는 경우가 굉장히 많다. 하지만 이런 경우 실제 용례 또는 많이 쓰는 표기를 보면 '뉴스페이퍼', '트랜스젠더', '웨슬리', '글래스고', '재스민', '크라이슬러' 등 어중 자음 앞 s를 '스'로 쓴다. 하지만 어중 자음 앞 s가 [z]로만 발음될 경우는 보통 Disney [ˈdɪz.ni] '디즈니', lesbian [ˈlɛz.bi‿ən] '레즈비언', Queensland [ˈkwiːnz.lənd, -lænd] '퀸즐랜드'에서와 같이 '즈'로 쓰며 드물게 Carlsberg [ˈkɑːɹlz.bɜːɹɡ] '칼스버그'처럼 그냥 '스'를 쓰는 경우도 있다(덴마크 회사 Carlsberg의 덴마크어 발음은 [kʰɑːˀls.b̥æɐ̯ˀ] '카를스베르'이다).
이처럼 영어에서 어중 유성 자음 앞 s의 표기는 까다로운 문제이지만 [z]로만 발음되고 합성어라는 인식이 없을 때에만 '즈'를 쓰고 나머지 경우에는 '스'를 쓰는 것이 어떨까 한다. '외래어 표기 용례의 표기 원칙'에 따라 영어에서 news [ˈnjuːz] '뉴스' 등 어말의 -s는 [z]로 발음되더라도 '스'로 적는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Λέσβος Lésvos [ˈlez.vos] '레스보스', Πελασγός Pelasgós [pe.laz.ˈɣos] '펠라스고스', κόσμος kósmos [ˈkoz.mos] '코스모스', Ισραήλ Israíl [iz.ra.ˈil] '이스라일' 등에서는 σ s가 [z]로 발음된다. 하지만 한글 표기에서는 '스'로 쓴다. 외래어 표기법에는 그리스어 표기 규정이 따로 없지만 '외래어 표기 용례의 표기 원칙'에 포함된 그리스어 표기 원칙을 비롯하여 정식으로 고시된 적이 없는 그리스어 표기 시안에도 σ s를 경우에 따라 '즈'로 적는다는 규정은 없다. 기존 용례에도 현대 그리스 인명 가운데 Κοσμίδης Kosmídis [koz.ˈmi.ðis]를 '코스미디스'로 적은 것이 있다.
포르투갈어에서 유성 자음 앞의 s를 '즈'로 적는다는 규칙처럼 외래어 표기 규정 가운데 표기 용례에서 제대로 지켜지지 않는 것이 있으면 무조건 용례가 잘못되었다고 판단하기 전에 그 규정이 과연 충분한 근거가 있는지, 다른 언어의 표기에도 똑같이 적용되고 있는지 따져보는 것이 합리적일 것이다. 그래서 잘 지켜지지 않으면서 계속 존속시킬 근거가 부족하다고 여겨지는 규정은 과감히 현실에 맞게 바꾸는 것이 규정에 따른 표기와 실제 쓰는 표기의 간극을 좁히는 길이다.

리스본의 문장. mui nobre e sempre leal cidade de Lisboa는 '매우 고귀하고 언제나 충성스러운 도시 리스본'을 뜻한다(Wikimedia: Sérgio Horta, CC BY-SA 3.0).
이 지명은 고전 라틴어의 Olisīpō '올리시포'에 대응되는 속(俗)라틴어 Olisipona '올리시포나'에서 유래했다. 고대 그리스어로는 Ὀλισσιπών Olissipṓn '올리시폰' 또는 Ὀλισσιπόνα Olissipóna '올리시포나'라고 했다. 전통적으로 라틴어로 Ulixēs '울릭세스'라고 하는 그리스 신화의 인물 오디세우스(Ὀδυσσεύς Odusseús)와 관련된 지명이라는 설, '잔잔한 만(灣)' 또는 '안전한 항구'를 뜻하는 페니키아어

속라틴어의 Olisipona에서 모음 사이의 p가 b로 유성음화하고 무강세 음절의 모음이 탈락한 형태는 *Lisbona 정도인데 끝부분이 라틴어 bonus '좋은'의 여성형 bona와 형태가 같다. 포르투갈어에서는 라틴어 bona가 bõa를 거쳐 boa가 되었으며 프랑스어에서는 bona가 bonne이 되었는데 *Lisbona도 비슷한 발달 과정을 거쳐 옛 포르투갈어 Lisbõa를 거쳐 현대 포르투갈어로는 Lisboa가 되었고 프랑스어로는 Lisbonne이 되었다. 그런데 에스파냐어에서는 bona가 buena가 되었으니 에스파냐어의 Lisboa는 같은 뿌리에서 자체적으로 발달한 형태가 아니라 포르투갈어 형태를 딴 것으로 설명해야 하겠다.
2000년 12월 18일에 열린 제37차 정부·언론 외래어 심의 공동위원회 회의에서는 포르투갈어 Lisboa의 표기를 '리스보아'로 결정하였다. 물론 도시 이름으로는 관용 표기인 '리스본'을 계속 쓰되 포르투갈어 이름을 특별히 부를 일이 있을 때는 '리스보아'로 쓴다는 것이다.
한편 2003년 12월 17일에 열린 제55차 외래어 심의회에서는 동티모르의 초대 대통령 Xanana Gusmão (1946년 태생)의 표기를 '구스망, 샤나나'로 결정하였다. 이 이름은 포르투갈어 이름이다. 동티모르는 1975년까지 포르투갈의 식민지였으며 이듬해 인도네시아에 점령당하여 포르투갈어 사용이 금지되었지만 2002년 독립하면서 현지 공통어인 테툼어와 함께 포르투갈어를 공용어로 삼았다. 이런 역사로 인해 동티모르에서는 포르투갈어 인명이 많이 쓰인다. 포르투갈어로 Xanana Gusmão은 [포: ʃɐ.ˈnɐ.nɐ ɡuʒ.ˈmɐ̃ũ̯, 브: ʃɐ̃.ˈnɐ̃.nɐ ɡuz.ˈmɐ̃ũ̯]으로 발음된다.

2002년 당시 동티모르 대통령이던 샤나나 구스망(Wikimedia: Darwinek, Public Domain).
Gusmão은 포르투갈어 성으로 에스파냐 북부의 지명인 Guzmán [ɡuð.ˈman] '구스만'에서 왔다. 에스파냐어 성으로도 Guzmán [ɡuð.ˈman] '구스만' 또는 de Guzmán [de.ɣ̞uð.ˈman] '데구스만'이 쓰인다. 네덜란드의 축구 선수 요나탄 더구스만(Jonathan de Guzmán)은 아버지가 한때 에스파냐의 식민지였던 필리핀 출신이라서 에스파냐어 성을 쓴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출전 선수명 표기 용례에는 네덜란드어 표기 규정을 적용한 '요나탄 더휘즈만'으로 실렸지만 네덜란드어에서도 에스파냐어 발음을 흉내내어 [ˈjoː.na.tɑn də.ˈɡus.mɑn]으로 발음하므로 이에 따라 '요나탄 더구스만'으로 쓰거나 아예 성에는 에스파냐어 표기 규정을 적용하여 '요나탄 데구스만'으로 적는 것이 좋다.
Xanana는 미국의 로큰롤 그룹 '샤나나(Sha Na Na)'에서 딴 별명이다. 포르투갈어의 x는 영어의 sh처럼 무성 후치경 마찰음 [ʃ]를 나타낸다.
외래어 심의회에서 Lisboa '리스보아'와 Xanana Gusmão '구스망, 샤나나'를 표준 표기로 결정했을 때에는 아직 외래어 표기법에 포르투갈어 표기 규정이 없었다. 2005년 12월 28일에야 네덜란드어, 러시아어와 함께 포르투갈어 표기 규정이 외래어 표기법에 추가되었다.
그런데 포르투갈어 표기 규정 제9항에서는 s를 무성 자음 앞이나 어말에서는 '스'로 적고 유성 자음 앞에서는 '즈'로 적도록 하고 있다. Lisboa의 b와 Gusmão의 m은 유성 자음이다. 그러니 포르투갈어 표기 규정을 적용하면 Lisboa는 '리즈보아'로, Gusmão은 '구즈망'으로 적는 것이 원칙에 맞다. 이 규정은 철자 s가 유성 자음 앞에서 유성음 [ʒ] (포르투갈) 또는 [z] (브라질)로 발음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2005년 포르투갈어 표기법 제정과 함께 발간된 《외래어 표기 용례집: 포르투갈어·네덜란드어·러시아어》에서는 Lisboa의 표기를 예전 결정과 마찬가지로 '리스보아'로 적고 '포르투갈의 수도인 '리스본(Lisbon)'의 포르투갈어 이름'으로 풀이하였다. 이 용례집에서는 표기법을 적용하지 않고 관용을 인정한 경우에 Rio de Janeiro '*리우데자네이루'와 같이 한글 표기 앞에 별표(*) 표시를 하였지만(포르투갈어 표기법을 적용하면 '히우지자네이루') Lisboa '리스보아'에는 별표 표시가 없다. 더구나 이 용례집에는 앙골라 지명인 Nova Lisboa가 역시 별표 표시 없이 '노바리스보아'로 수록되었다. Nova Lisboa는 '새 리스본'을 뜻하며 1975년 앙골라가 포르투갈로부터 독립한 뒤 본래의 이름인 우암부(Huambu [ˈwɐ̃m.bu])로 불린다. Xanana Gusmão은 이 용례집에 실리지 않았다.
그러니 포르투갈어 표기법이 새로 추가된 후에도 이에 따라 Lisboa와 Gusmão의 표기가 바뀌어야 한다는 사실은 간과되고 예전에 결정된 표기를 그대로 쓴 것으로 보인다. 재심의 대상에서 단순 누락된 것이다.
그러면 이처럼 헷갈리게 왜 새 포르투갈어 표기법에서는 유성 자음 앞의 s를 '즈'로 적도록 한 것일까? 이 규칙을 꼭 지킬 필요가 있을까? 물론 유성 자음 앞에서 s가 유성음 [ʒ] (포르투갈) 또는 [z] (브라질)로 발음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지만 비슷한 현상은 에스파냐어와 이탈리아어에도 나타나는데 외래어 표기법에 반영되지 않는다.
에스파냐어
에스파냐어에서 desde /ˈdes.de/, rasgo /ˈras.go/처럼 음절말 /s/ 뒤에 유성 폐쇄음 /b, d, ɡ/이 따를 경우에는 /s/는 유성음 [z]로 실현되고 /b, d, g/는 접근음 [β̞, ð̞, ɣ̞]로 실현된다. 즉 [ˈdez.ð̞e], [ˈraz.ɣ̞o]로 실현되는 것이다.한편 isla /ˈis.la/, mismo /ˈmis.mo/처럼 음절말 /s/ 뒤에 유성음 /l, ʎ, m, n, ɲ, ʝ, w/ 등이 따를 때는 /s/가 유성음 [z]로 실현되기도 하고 [s]가 유지되기도 하는데, 보통 에스파냐에서는 [ˈiz.la], [ˈmiz.mo]와 같이 [z]로 실현되고 라틴아메리카에서는 [ˈis.la], [ˈmis.mo]와 같이 [s]가 유지된다. 에스파냐에서도 천천히 또박또박 말할 때는 [s]를 유지시켜 [ˈis.la], [ˈmis.mo]로 발음한다.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음절말 /s/가 유성 자음 앞에서 [z]로 발음되더라도 '스'로 표기를 통일하여 '데스데', '라스고', '이슬라', '미스모' 등으로 적는다. 외래어 표기법의 기본 원칙 가운데 하나는 '외래어의 1 음운은 원칙적으로 1 기호로 적는다'는 것인데 이에 따라 음소 /s/는 변이음 [z]로 발음되더라도 '스'로 표기를 통일한 것이다. 에스파냐어에서 [z]는 음소 /s/의 변이음으로만 나타나기 때문에 한글 표기에 따로 반영하지 않는 것이다.
한편 Guzmán의 z는 에스파냐 발음에서 원래 무성 치 마찰음 /θ/를 나타내며 라틴아메리카 발음에서는 /s/를 나타내는데 이것도 s /s/와 실현 양상이 비슷하다. 즉 에스파냐에서는 [ɡuð.ˈman]으로 흔히 발음되고 또박또박 말할 때는 [ɡuθ.ˈman]이며 라틴아메리카에서는 보통 유성음화 없이 [ɡus.ˈman]으로 발음한다. 그래서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구스만'으로 적는 것이다.
이탈리아어
이탈리아어에서 sbaglio [ˈzbaʎ.ʎo], Slovenia [zlo.ˈvɛː.nja], cosmo [ˈkɔz.mo], svagato [zva.ˈɡaː.to] 등 유성 자음 앞의 /s/는 언제나 유성음화하여 [z]로 발음된다. 하지만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스발리오', '슬로베니아', '코스모', '스바가토'와 같이 이탈리아어의 s를 언제나 'ㅅ', '스'로 적는다.에스파냐어에서와 달리 이탈리아어에서는 /s/와 /z/가 각각 독립적인 음소인 것으로 보통 본다. 유성 자음 앞에서는 [z]만 쓰이고 무성 자음 앞에서는 [s]만 쓰이지만 모음 사이에서는 [s]와 [z]가 구별된다. 예를 들어 '보이다, 내놓다'를 뜻하는 presentare의 1인칭 단수 presento는 [pre.ˈzɛn.to], '예감하다'를 뜻하는 presentire의 1인칭 단수 presento는 [pre.ˈsɛn.to]로 발음하여 구별한다. 하지만 철자만으로는 구별이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언제 [s]를 쓰고 언제 [z]를 쓰는지도 방언과 화자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집'을 뜻하는 casa는 전통적으로 [ˈkaː.sa]로 발음되었지만 요즘에는 [ˈkaː.za]로 흔히 발음된다. 또 이탈리아 남부의 발음에서는 아예 모음 사이의 s를 모두 [s]로 발음한다. 그래서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이탈리아어의 s가 [s]인지 [z]인지 구분하지 않고 모두 'ㅅ', '스'로 통일해서 적는 것이다.
하지만 외래어 표기법을 따르지 않는 민간 표기에서는 [z]로 발음되는 s를 'ㅈ'으로 적는 모습도 간혹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식 이름인 lasagna [la.ˈzaɲ.ɲa], risotto [전통: ri.ˈsɔt.to, 현대: ri.ˈzɔt.to]는 각각 '라자냐', '리조토/리조또'로 흔히 적는다. 외래어 표기법을 따르면 각각 '라사냐', '리소토'로 적어야 한다. 사실 이탈리아어에서는 음식을 이를 때는 단수형 lasagna보다는 복수형 lasagne를 쓰므로 '라사녜'가 원어의 용법에 맞다(단수형 spaghetto 대신 복수형 spaghetti '스파게티'를 쓰는 것 참조). 하지만 미국 영어에서는 복수형 lasagne 외에도 단수형 lasagna가 음식 이름으로 흔히 쓰이게 되어 한국에서는 이에 따라 '라자냐'라는 형태로 널리 알려졌다. 아직 lasagne/lasagna의 표준 표기는 정해지지 않았지만 '라사녜'가 너무 생소하다면 '라자냐'를 관용 표기로 인정해도 별 탈은 없을 듯하다.
포르투갈어
포르투갈어에서는 /s/와 /z/가 확실히 각각 독립적인 음소일 뿐만 아니라 같은 철자 s가 /s/와 /z/를 둘 다 나타내는 이탈리아어와 달리 /z/를 나타내는 철자 z가 따로 있다. 그래서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포르투갈어의 z를 'ㅈ', '즈'로 적도록 하고 있다. 다만 /s/와 /z/는 어두와 모음 사이에서만 구별되고 음절말에서는 구별되지 않는다. 포르투갈 전역을 비롯하여 브라질 일부(리우데자네이루 주변)에서는 음절말의 /s, z/가 후치경음 [ʃ, ʒ]로 변하는데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이를 무시하고 브라질 대부분에서 쓰는 발음에 따라 /s, z/인 것처럼 '스', '즈'로만 적도록 한다. 어말의 /s, z/는 무성음 [ʃ] 또는 [s]로 발음되기 때문에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어말의 -z를 '스'로 쓴다. 예를 들어 포르투갈어 성인 Moniz는 -z가 무성음화하여 포르투갈에서 [mu.ˈniʃ]로, 브라질에서 [mõ.ˈnis]로 발음되므로 '모니스'로 적는다.어중 음절말의 /s, z/는 뒤따르는 자음이 무성음이면 [ʃ] 또는 [s]로, 유성음이면 [ʒ] 또는 [z]로 발음된다.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유성 자음 앞의 s를 '즈'로 적도록 하고 있으므로 Francisco [포: fɾɐ̃.ˈsiʃ.ku, 브: fɾɐ̃.ˈsis.ku] '프란시스쿠', Gustavo [포: ɡuʃ.ˈta.vu, 브: ɡus.ˈta.vu] '구스타부'에서는 s를 '스'로 적지만 Lisboa [포: ɫiʒ.ˈbo.ɐ, 브: ɫiz.ˈbo.ɐ], Gusmão [포: ɡuʒ.ˈmɐ̃ũ̯, 브: ɡuz.ˈmɐ̃ũ̯]에서는 s를 '즈'로 적어 각각 '리즈보아', '구즈망'으로 쓰는 것이 원칙에는 맞다.
그런데 포르투갈어 표기법 제정과 함께 나온 용례집에서 브라질 지명 Venceslau Bráz [포: vẽ.sɨʒ.ɫau̯.ˈbɾaʃ , 브: vẽ.sez.ɫau̯.ˈbɾas]는 '벤세슬라우브라스'로 적는다. 또 2007년에 심의된 동티모르 인명에서 Estanislau [포: ʃtɐ̃.niʒ.ˈɫau̯, 브: i.stɐ̃.niz.ˈɫau̯]를 '*에스타니슬라우'로 적고 있다(어두 무강세 음절의 e를 표기법에 따른 '이' 대신 '에'로 적었기 때문에 관용 표기를 나타내는 별표를 쓴 듯하다). 포르투갈어 l은 유성음 /ɫ/을 나타내므로 표기법을 문자 그대로 따르면 각각 '벤세즐라우브라스', '이스타니즐라우'로 적어야 한다. 하지만 /s.ɫ/ 대신 /.sɫ/로 음절 구분을 달리하면 /s/가 더이상 음절말이 아니므로 무성음으로 유지되어 Venceslau [포: vẽ.sɨ.ˈʃɫau̯, 브: vẽ.se.ˈsɫau̯], Estanislau [포: ʃtɐ̃.ni.ˈʃɫau̯, 브: i.stɐ̃.ni.ˈsɫau̯]와 같이 발음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 그래도 실제 관찰해보면 예상대로 어중 sl의 s는 보통 유성음 [ʒ] 또는 [z]로 발음되는 듯하다.
포르투갈어 표기법에서 s는 포르투갈어 음운 규칙에 따라 /z/으로 발음되는 모음 사이에서는 'ㅈ'으로 적고 어중 유성음 앞에서는 '즈'로 적도록 했다. 그래서 Lisboa, Gusmão, Venceslau, Estanislau 등은 기존 용례에서 어떻게 적었든 표기법대로 각각 '리즈보아', '구즈망', '벤세즐라우', '이스타니즐라우'로 적는 것이 실제 발음에는 가깝다. 이 외에도 표기 용례에는 Cosmo [포: ˈkɔʒ.mu, 브: ˈkɔz.mu] '코즈무', Quaresma [포: kwɐ.ˈɾɛʒ.mɐ, 브: kwa.ˈɾɛz.mɐ] '쿠아레즈마'와 같이 표기법을 그대로 따른 것들이 있다.

포르투갈 대표 축구 선수 히카르두 쿠아레즈마(Wikimedia: Fanny Schertzer, CC BY 3.0)
하지만 과연 실제 발음과 가깝다고 해서 유성 자음 앞의 s를 '즈'로 적는 것이 최선의 선택일까? '리스보아', '구스망', '벤세슬라우', '*에스타니슬라우' 등의 기존 용례에서 이 규정을 지키지 않은 경우가 지킨 경우보다 많을 정도이니 자음 앞의 s는 '스'로 통일하는 것이 낫지 않을까? 다른 언어의 경우도 살펴보자.
프랑스어
프랑스어도 /s/와 /z/가 독립적인 음소이고 철자 z가 /z/를 나타내며 모음 사이의 s는 보통 /z/를 나타낸다는 점이 포르투갈어와 상당히 비슷하다. 그런데 어중 유성 장애음 /b, d, ɡ, v/ 앞의 s는 [z]로 발음되는 것이 보통이지만 천천히 발음할 때는 [s]가 유지되며 사전에서는 보통 [s]를 기본 발음으로 제시한다. Gainsbourg [ɡɛ̃s.buːʁ → ɡɛ̃z.buːʁ] '갱스부르', Strasbourg [stʁas.buːʁ → stʁaz.buːʁ] '스트라스부르' 등의 기존 용례에서도 이와 같은 경우의 s를 '스'로 적는다. 한편 Sisley [sis.lɛ] '시슬레', orgasme [ɔʁ.ɡasmə] '오르가슴'처럼 유성 공명음 /l, m, n, ɲ, ʁ/ 앞의 s는 언제나 [s]로 발음하는 것을 표준 발음으로 친다(다만 방언에서는 [z]로 발음될 수 있다).그러므로 프랑스어에서 어중 유성 자음 앞의 s /s/는 '스'로 표기를 통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리스본의 프랑스어 이름 Lisbonne [lis.bɔnə → liz-]도 '리스본'으로 표기된다.
네덜란드어
네덜란드어도 /s/와 /z/가 독립적인 음소이고 철자 z가 /z/를 나타내며 모음 사이의 s는 보통 /z/를 나타낸다. 하지만 네덜란드어에서 음절말 자음은 일단 무성음화했다가 뒤따르는 유성 폐쇄음에 의해 유성음이 될 수 있는 규칙이 있다. 그래서 어중 유성 폐쇄음 /b, d/ 앞의 s는 보통 [z]로 실현되지만 이 역시 천천히 발음할 때는 [s]가 유지된다.그런데 현 네덜란드어 표기법에서는 철자 s가 /z/를 나타내는 경우에도 'ㅅ', '스'로 적는다. 그러니 Doesburg [ˈdus.bʏrəx → ˈduz.bʏrəx] '두스뷔르흐', Ruysdael [ˈrœy̯s.daːl → ˈrœy̯z.daːl] '라위스달' 등의 어중 자음 앞 s는 보통 [z]로 실현되더라도 '스'로 적는다. 한편 Friesland [ˈfris.lɑnt] '프리슬란트', Tasman [ˈtɑs.mɑn] '타스만'에서처럼 유성 공명음 /l, m, n, r, ʋ/ 앞의 s는 언제나 [s]로 발음되며 Sven [ˈsfɛn] '스벤', misgaan [ˈmɪs.xaːn] '미스한'에서와 같이 s 뒤에 유성 마찰음 /v, ɣ/가 따르면 오히려 뒤쪽 자음이 /f, x/로 무성음화된다. 하지만 현 네덜란드어 표기법에서 앞뒤 자음에 의한 유성음화나 무성음화는 반영하지 않는다.
영어
영어도 /s/와 /z/가 독립적인 음소이고 철자 z가 /z/를 나타내며 모음 사이의 s는 언제나 그런 것은 아니지만 /z/를 나타낼 경우가 많다. 그런데 영어에서 어중 유성 자음 앞의 s는 [z]로 발음되는 경우가 많다. 심지어 newspaper [ˈnjuːz.ˌpeɪp.əɹ, ˈnjuːs-] '뉴즈페이퍼/뉴스페이퍼'에서와 같이 합성어에서 앞부분의 -s가 /z/일 때 뒷부분이 무성 자음으로 시작하더라도 천천히 발음할 때는 [z]가 유지될 수 있을 정도이다.영어에서는 newspaper 외에도 transgender [ˌtɹæːnz.ˈʤend.əɹ, ˌtɹæːnts-] '트랜즈젠더/트랜스젠더', Wesley [ˈwɛs.li, ˈwɛz-] '웨슬리/웨즐리', Glasgow [ˈɡlæːz.ɡoʊ̯, ˈɡlæːs-, ˈɡlæːsk.oʊ̯] '글래즈고/글래스고/글래스코', jasmine [ˈʤæz.mᵻn, ˈʤæs-] '재즈민/재스민', Chrysler [ˈkɹaɪ̯z.ləɹ, ˈkɹaɪ̯s-] '크라이즐러/크라이슬러' 등 [z]와 [s] 발음이 혼용되는 경우가 굉장히 많다. 하지만 이런 경우 실제 용례 또는 많이 쓰는 표기를 보면 '뉴스페이퍼', '트랜스젠더', '웨슬리', '글래스고', '재스민', '크라이슬러' 등 어중 자음 앞 s를 '스'로 쓴다. 하지만 어중 자음 앞 s가 [z]로만 발음될 경우는 보통 Disney [ˈdɪz.ni] '디즈니', lesbian [ˈlɛz.bi‿ən] '레즈비언', Queensland [ˈkwiːnz.lənd, -lænd] '퀸즐랜드'에서와 같이 '즈'로 쓰며 드물게 Carlsberg [ˈkɑːɹlz.bɜːɹɡ] '칼스버그'처럼 그냥 '스'를 쓰는 경우도 있다(덴마크 회사 Carlsberg의 덴마크어 발음은 [kʰɑːˀls.b̥æɐ̯ˀ] '카를스베르'이다).
이처럼 영어에서 어중 유성 자음 앞 s의 표기는 까다로운 문제이지만 [z]로만 발음되고 합성어라는 인식이 없을 때에만 '즈'를 쓰고 나머지 경우에는 '스'를 쓰는 것이 어떨까 한다. '외래어 표기 용례의 표기 원칙'에 따라 영어에서 news [ˈnjuːz] '뉴스' 등 어말의 -s는 [z]로 발음되더라도 '스'로 적는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현대 그리스어
그리스어에서 /s/와 /z/는 독립적인 음소이며 그리스 문자에는 기본적으로 /s/를 나타내는 '시그마' σ s와 /z/를 나타내는 '제타' ζ z가 따로 있다. 그런데 σ s는 보통 유성 자음 /v, ð, ɣ; m, n, r/ 앞에서 [z]로 유성음화한다(다만 /l/ 앞에서는 [s]로 유지된다).따라서 Λέσβος Lésvos [ˈlez.vos] '레스보스', Πελασγός Pelasgós [pe.laz.ˈɣos] '펠라스고스', κόσμος kósmos [ˈkoz.mos] '코스모스', Ισραήλ Israíl [iz.ra.ˈil] '이스라일' 등에서는 σ s가 [z]로 발음된다. 하지만 한글 표기에서는 '스'로 쓴다. 외래어 표기법에는 그리스어 표기 규정이 따로 없지만 '외래어 표기 용례의 표기 원칙'에 포함된 그리스어 표기 원칙을 비롯하여 정식으로 고시된 적이 없는 그리스어 표기 시안에도 σ s를 경우에 따라 '즈'로 적는다는 규정은 없다. 기존 용례에도 현대 그리스 인명 가운데 Κοσμίδης Kosmídis [koz.ˈmi.ðis]를 '코스미디스'로 적은 것이 있다.
결론
이와 같이 /s/와 별도로 /z/를 나타내는 글자가 따로 없는 에스파냐어와 이탈리아어는 물론 /z/를 나타내는 글자가 따로 있는 프랑스어, 네덜란드어, 현대 그리스어에서도 유성 자음 앞에서 [z]로 실현되는 s는 '스'로 적는다. 이런 점을 고려하면 포르투갈어의 s가 유성 자음 앞에서 [ʒ] 또는 [z]로 발음되더라도 '스'로 통일해서 적는 것으로 표기 규정을 바꾸는 것이 합리적일 수 있다. 즉 Lisboa, Gusmão, Venceslau, Estanislau, Cosmo, Quaresma는 각각 '리스보아', '구스망', '벤세슬라우', '이스타니슬라우', '코스무', '쿠아레스마'로 적는 것을 원칙으로 삼자는 것이다.포르투갈어에서 유성 자음 앞의 s를 '즈'로 적는다는 규칙처럼 외래어 표기 규정 가운데 표기 용례에서 제대로 지켜지지 않는 것이 있으면 무조건 용례가 잘못되었다고 판단하기 전에 그 규정이 과연 충분한 근거가 있는지, 다른 언어의 표기에도 똑같이 적용되고 있는지 따져보는 것이 합리적일 것이다. 그래서 잘 지켜지지 않으면서 계속 존속시킬 근거가 부족하다고 여겨지는 규정은 과감히 현실에 맞게 바꾸는 것이 규정에 따른 표기와 실제 쓰는 표기의 간극을 좁히는 길이다.
덧글
요즘 외래어 표기 심의위원회의 결과물을 살펴 보면 현행 표기법에 어긋났던 기존 용례들을 '재심의'라는 이름 아래 조금씩 고치고 있습니다. 본문에서 예로 들어주신 표기법에 어긋나는 용례들도 언젠가는 하나둘씩 수정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게 원음에 가깝게 표기하려는 의식이 반영된 것이라기보다는 기존 표기법에 대한 고려 없이 개개인의 선호를 너무 여과 없이 반영한 결과라고 생각합니다. '차이코프스키'로 잘 쓰던 것을 '차이콥스키'로 바꾸는 것이 원음에 더 가깝다고 할 수 있을까요? 자음 앞의 [f] 음은 '프'로 쓸 수도 있고 'ㅂ'으로 쓸 수도 있지만 기존 외래어 표기 규정에서는 예외 없이 '프'로 통일했는데(f가 [p]로 대체될 수 있는 말레이인도네시아어 제외) 러시아어에서만 'ㅂ'으로 써서 혼란이 큽니다. 그렇다고 자음 앞의 [x] 음을 'ㄱ'으로 쓰는 것도 아니니 내부적인 일관성도 없고...
사실 기존 표기 용례의 양이 방대하고 수십 년에 걸쳐 여러 다른 사람들이 심의한 결과이기 때문에 잘못된 것도 많고 규칙이 일관적으로 적용되지 않은 것도 많아 회의 때마다 재심의되는 용례가 조금씩 있습니다. 저는 규칙에 맞지 않는 용례가 보이면 무조건 재심의하려 하기 전에 규칙 자체가 타당한지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취지로 쓴 글입니다. 언어 생활에 혼란이 오지 않도록 되도록이면 기존 용례를 너무 많이 바꾸지 않는 선에서 신중을 기해 확실히 재심의가 필요한 것들부터 먼저 해야겠죠.
이탈리아어 sbaglio [ˈzbaʎʎo]를 '스발리오'라고 표기하는 것은 외래어 표기법에서 이탈리아어의 -gli- [ʎʎ]을 '리'로 적고 뒤따르는 모음과 합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탈리아어의 -gn- [ɲɲ]은 Bologna [boˈloɲɲa, -ˈlɔɲ-] '볼로냐'에서처럼 뒤따르는 모음과 합치지만 -gli-와 Brescia [ˈbreʃʃa, -ɛ-] '브레시아' 등의 sci- [(ʃ)ʃ]는 합치지 않고 적는 것을 보면 철자의 i 때문이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실제로 scia [ˈʃia] '시아'에서처럼 철자 i가 실제 [i]로 발음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그런 식으로 정한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처럼 철자 i 때문에 뒤따르는 모음과 합치지 않는 경우가 아니면 [ʎ]은 포르투갈어의 lh처럼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적는 것이 좋습니다.
2. 아무튼 [kasˈtiʎa]를 발음기호만을 기준으로 그대로 표기할 경우, 카스틸리아가 아닌 카스틸랴가 맞는 것인가요?
에스파냐어라는 정보 없이 [kasˈtiʎa]를 발음 기호대로만 읽는다면 '카스틸랴'가 괜찮겠지만 실생활에서 외국어를 한글로 표기할 때는 원어 정보 없이 발음 기호대로만 표기하지 않으니 그리 쓸모있는 표기는 아닙니다.
2. 만약 그렇다면 본토 표준 발음을 기준으로 한글 표기를 정하는 게 마땅할 텐데, 설마 인구가 많은 라틴아메리카를 기준으로 하는 게 더 낫겠다 싶어서 그런 것일까요?
3. 저는 처음에 혹시 프랑스어의 ll과 같은 발음인 줄 오인해서 카스틸랴를 카스티야로 표기하는 잘못된 관행이 생긴 것이 아닌가 했거든요. 프랑스어 표기 관행이 에스파냐어 표기 원칙에 영향을 준 것은 아닌가요?
4. 포르투갈어도 본토보다 브라질에서 더 많이 쓰이는데요. 혹시 포르투갈어 한글 표기 원칙도 브라질어를 기준으로 한 것인가요?
2. 언어란 것이 획일적으로 통일되어있지 않고 다양성이 존재하기 마련이기 때문에 자의적으로 올바른 표준 하나만 정하고 거기에 따르지 않는 것을 무조건 틀렸다고 하는 것은 비현실적입니다. 영어를 표기할 때 잉글랜드의 표준 발음만 있는 것처럼 특화된 표기를 쓰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듯이 에스파냐어를 표기할 때에도 에스파냐어권 전체에 두루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제가 네덜란드어 표기 규정에 대해 계속 지적하여 비판하는 것 가운데 하나가 벨기에 등 나머지 네덜란드어권 발음을 무시하고 네덜란드 북부에서 쓰이는 최신 발음만을 기준으로 한다는 것입니다.
3. 프랑스어 ll의 표기가 에스파냐어 ll의 표기에 영향을 줬을 것 같지는 않습니다. 외래어 표기법이 도입된 1980년대에도 국내 대학에는 스페인어학과가 있는 곳이 다수 있었으니 에스파냐어 전문가들의 자문을 받았을 텐데 이들이 프랑스어 표기를 염두에 두었을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4. 포르투갈어의 표기 규칙은 r의 표기나 모음 처리 같은 문제에 있어서 브라질 발음을 많이 따랐습니다. r의 표기는 몰라도 모음 처리 문제는 브라질 발음을 따르는 것이 규정을 적용하기 훨씬 쉽습니다. 하지만 포르투갈과 브라질의 발음 차이가 심한 부분을 고려해 일부 규정은 브라질 고유명사에만 적용하도록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