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 이 글로 시작해서 몇 편이 될지는 모르지만 [f] 음의 표기에 대한 연재를 해볼 생각입니다.
외국어에 있는데 한국어에 없는 발음으로 대표적인 것이 무성 순치 마찰음 [f]이다. 영어를 비롯한 대부분의 유럽 언어, 중국어, 아랍어, 힌디어, 태국어, 베트남어 등 우리가 접하는 주요 외국어에서 흔히 쓰이는 발음이지만 한국어에는 비슷한 발음조차 없어 'ㅍ', 즉 [pʰ]로 흉내낸다(수정: 힌디어는 외래어에만 [f]를 쓰니 제외). [f]는 윗니와 아랫입술로 조음한다 해서 순치음으로 분류되는데 한국어에는 순치음 자체가 없고, 좁은 틈으로 공기를 마찰시켜 내보내는 소리라고 해서 마찰음으로 분류되는데 한국어에서 마찰음은 'ㅅ' 계열 변이음과 'ㅎ' 계열 변이음 뿐이다.
그런데 요즘은 한국어로 말하면서도 [f]를 쓰는 것을 흔히 들을 수 있다. 물론 다른 언어도 구사하는 화자들 가운데는 외래어를 발음할 때마다 해당 외국어의 발음에 가깝게 발음하는 이들도 일부 있다. 하지만 [f]를 섞어 쓰는 현상은 더 보편적인 것 같다. 한국어에 없는 다른 발음, 즉 [v, θ, ð, ɹ] 등은 쓰지 않고 다른 것은 다 표준 한국어 발음대로 하는데 유독 [f]만 섞어 쓰는 것이다.
심지어 일부 아나운서들도 '펀드(fund)', '프랑스(France)' 등의 'ㅍ'을 한국어에서 보통 쓰는 [pʰ] 대신 [f]로 대체하여 발음하는 것을 들을 수 있다.

혹자는 이와 같이 외래어의 발음에서 [f]를 쓰는 것을 외국어 발음을 그대로 흉내내는 것으로 묘사하지만, 그것과는 약간의 거리가 있다. '펀드'를 영어의 fund처럼 [fʌnd]라고 발음하는 것이 아니라 '으' 음을 붙여서 [fʌndɯ]라고 발음한다. '펀드'의 보통 한국어 발음은 [pʰʌndɯ]인데 여기서 [pʰ]를 [f]로 대체하기만 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프랑스'는 [pʰɯɾaŋs"ɯ]라는 일반적인 발음에서 [pʰ]만 [f]로 대체한 [fɯɾaŋs"ɯ]로 발음한다. F 발음을 한다는 것 외에는 프랑스어의 [fʁɑ̃s]나 영어의 [fɹɑːns]에 특별히 가깝게 발음하지는 않는다.
이런 화자들은 원어에 [f]가 들어가는 외래어를 원어 발음대로 한다기보다는 한국어의 기본적인 음소 목록에 [f]를 추가하는 것이라고 분석할 수 있다.
다른 언어의 사례
전세계 언어의 음운 체계를 분석할 때 그 언어의 고유 어휘에는 쓰이지 않는데 외래어의 발음에만 쓰이는 음운을 흔히 찾을 수 있다. 한국어와 마찬가지로 [f] 음이 기본 음소가 아닌 언어들을 몇몇 알아보자.
필리핀어. 필리핀어는 타갈로그(Tagalog)라는 언어를 표준화한 필리핀의 국어이며 [f]나 [v] 음을 사용하지 않는다. 필리핀은 스페인(에스파냐)과 미국의 통치를 받은 적이 있어 스페인어와 영어에서 받아들인 어휘가 많은데, 원어의 [f]는 [p]로, [v]는 [b]로 대체한다. 스페인어의 fiesta는 필리핀어에서 piyesta 또는 pista이고 영어의 television은 필리핀어에서 telebisyon으로 받아들였다.
필리핀어에서 쓰는 로마 문자에는 F, V 등의 문자도 포함된다. 많은 이들이 스페인어 또는 영어 이름을 쓰기 때문이다. 발음 안내 사이트 Forvo.com에서 한 필리핀어 화자가 1965년에서 1986년까지 장기 집권한 페르디난드 마르코스(Ferdinand Marcos) 대통령의 이름을 발음하는 것을 들으니 [f] 발음을 분명히 하고 있다(발음 듣기). 그러니 필리핀어에서는 일반 외래어에는 원어의 [f]를 [p]로 대체하지만, 이름과 같은 특수한 경우에 [f]를 쓰기도 하는 듯하다.
핀란드어. 남서부 방언을 제외하면 핀란드어 고유 어휘에서는 [f]가 쓰이지 않는다. 대신 핀란드어에는 v로 표기하는 음이 있는데, [f]와 조음 위치가 같은 순치 접근음 [ʋ]이다. 이 [ʋ]는 [v]와 비슷하지만 마찰이 없어 [w]와 [v] 중간 음으로 들린다. 오래 전에 들어온 외래어에서 원어의 [f]는 보통 [ʋ]로, 어중에서는 때로 [hʋ]로 대체된다. 예를 들어 '커피'를 뜻하는 스웨덴어의 kaffe는 핀란드어에서 kahvi로 받아들였다.
하지만 더 최근 들어온 외래어에서는 원어의 [f]는 f로 표기하는데, 이 때 발음도 [f]로 하는 것이 원칙이다. 일상 언어에서 때로 f로 적은 것도 [ʋ]로 발음하기도 한다. '아스팔트'를 뜻하는 asfaltti, '유니폼'을 뜻하는 uniformu가 최근 들어온 외래어로서 f 표기를 쓰는 예이다. 이들은 때로 [f]를 [ʋ]로 대체한 발음을 반영해 asvaltti, univormu라고 쓰기도 한다.
일본어. 일본어에는 [f]음이 없지만 /h/가 /u/ 앞에 올 때, 즉 は행의 ふ에서 양순 마찰음 [ɸ]로 발음된다. 이 소리는 위아래 입술로 조음되는 것이 다를 뿐 [f]에 꽤 가까운 소리이다. ふ는 널리 쓰이는 헵번식 로마자 표기에서 fu로 표기하며 훈령식 표기와 일본식 표기에서는 hu로 표기한다. 일본어 고유 어휘에서 [ɸ]는 /u/ 앞에서만 발음될 수 있다.
역사가 오래된 외래어일수록 원어의 [f]가 /u/ 이외의 모음 앞에 올 때는 /h/ 또는 드물게 /p/로 대체했다. 포르투갈어의 confeito는 金米糖(kompeitō)가 되었으며 네덜란드어의 koffie는 コーヒー(kōhī), morfine는 モルヒネ(moruhine)가 되었다. 영어의 wafers는 ウエハース(wehās)로 받아들였다. 한국에서도 영어 발음을 직접 받아들인 '웨이퍼'보다 일본어를 거친 '웨하스'가 더 널리 쓰이는 듯하다.
웨이퍼(wafer)는 일본어 ウエハース를 거친 '웨하스'로 더 널리 알려져있다.
하지만 더 최근에 들어온 외래어에서는 일본어 고유 어휘에서는 /u/ 앞에서만 쓰는 [ɸ]를 다른 모음 앞에서도 쓰고 가타카나로 ファ [ɸa], フィ [ɸi], フェ [ɸe], フォ [ɸo] 등으로 표기한다. 영어의 fight는 ファイト(faito), 프랑스어의 profil은 プロフィール(purofīru)가 되는 식이다.
이와 같은 사례들을 통해 최근에 들어온 외래어에 한해 원어의 음운 제약이 느슨해지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외래어의 발음을 위해 [f] 발음을 허용하는 경우도 일부 화자는 더 익숙한 다른 발음으로 대체하기도 해 새 음소로서의 지위는 불안정하다.
한국어에 [f] 발음을 추가하는 것은 바람직한가?
많은 한국어 화자들이 [f]를 외래어의 발음에 일상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하면 [f]도 제한적으로나마 한국어 음소로 간주해야 할 날이 올지도 모른다. 하지만 지금은 [f]를 섞어 쓰는 화자들마저 실제 [f]와 [pʰ]를 규칙적으로 구분하는 것 같지는 않다. [f]를 발음할 수 있다고 해서 [f]와 [p] 소리를 꼭 구별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외국어에 대한 웬만한 지식 없이는 언제 [f]를 써야 하는지 알기도 힘들다. 한글 표기로는 외래어의 원음이 [f]인지 [p]인지 구별 없이 'ㅍ'으로 적기 때문에 원어에서 [p]를 쓰는 경우에도 [f]를 쓰는 일도 드물지 않다. 테니스 중계를 하는 해설자가 '포인트(point)'를 발음하며 계속해서 [f] 발음을 쓰는 것을 본 적이 있다. '프로페셔널(professional)', '펠프스(Phelps)'처럼 원어에 [f]와 [p]가 섞인 경우는 더욱 실수가 많다.
어떻게 보면 [f] 발음은 원어의 발음을 존중해서 쓰는 것이 아니라 단지 외래어의 발음을 외국어답게 들리게 하기 위해서 무의식적으로 외래어의 'ㅍ' 발음에 무조건 사용하는 경향이 있는지도 모른다.
외국어 교육이 아무리 보급되었다 해도 한국어 화자 가운데 많은 이들은 [f] 발음을 하지 못한다. 또 한국어를 모어로 쓰는 사람이 외국어를 배워 유창하게 구사하는 경우도 해당 언어에서 [f]와 [p]를 혼동하는 실수를 흔히 본다. 이를 생각하면 [f]를 외래어 발음이라는 제한적인 용도로라도 한국어의 발음에 추가하는 것은 무리라는 생각이 든다. 외래어를 발음할 때에 원 발음에 최대한 가깝게 하려는 시도는 이해할 수 있지만, 대다수 언중이 발음하고 구별하기에 너무 낯선 발음을 써서 언어 생활에 혼란을 부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물론 위의 다른 언어 사례에서 본 것처럼 상황이 바뀔 여지가 없는 것은 아니다. 그렇지만 위들 언어는 [f]를 받아들인 발음을 표기하는 방식이 따로 있다. 필리핀어와 핀란드어는 f를 써서, 일본어는 フ를 써서 기존의 음운과 구별한다. 한글로 [f]를 기존 다른 발음과 구별하여 적게 되지 않는 이상 앞으로도 [f]가 한국어에서도 쓰이는 발음으로 인정되기는 힘들 것 같다.
[f]
외국어에 있는데 한국어에 없는 발음으로 대표적인 것이 무성 순치 마찰음 [f]이다. 영어를 비롯한 대부분의 유럽 언어, 중국어, 아랍어, 힌디어, 태국어, 베트남어 등 우리가 접하는 주요 외국어에서 흔히 쓰이는 발음이지만 한국어에는 비슷한 발음조차 없어 'ㅍ', 즉 [pʰ]로 흉내낸다(수정: 힌디어는 외래어에만 [f]를 쓰니 제외). [f]는 윗니와 아랫입술로 조음한다 해서 순치음으로 분류되는데 한국어에는 순치음 자체가 없고, 좁은 틈으로 공기를 마찰시켜 내보내는 소리라고 해서 마찰음으로 분류되는데 한국어에서 마찰음은 'ㅅ' 계열 변이음과 'ㅎ' 계열 변이음 뿐이다.
그런데 요즘은 한국어로 말하면서도 [f]를 쓰는 것을 흔히 들을 수 있다. 물론 다른 언어도 구사하는 화자들 가운데는 외래어를 발음할 때마다 해당 외국어의 발음에 가깝게 발음하는 이들도 일부 있다. 하지만 [f]를 섞어 쓰는 현상은 더 보편적인 것 같다. 한국어에 없는 다른 발음, 즉 [v, θ, ð, ɹ] 등은 쓰지 않고 다른 것은 다 표준 한국어 발음대로 하는데 유독 [f]만 섞어 쓰는 것이다.
심지어 일부 아나운서들도 '펀드(fund)', '프랑스(France)' 등의 'ㅍ'을 한국어에서 보통 쓰는 [pʰ] 대신 [f]로 대체하여 발음하는 것을 들을 수 있다.

[f] 음을 나타내는 가상의 한글 자모 상상도(재미 삼아 그린 것이니 너무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마시길). 보통은 무성 양순 마찰음 [ɸ]의 음가를 가졌다고 생각되는 옛 한글 자모 'ㆄ'(순경음 ㅍ)을 쓰자는 주장이 많다. 글꼴은 나눔명조.
혹자는 이와 같이 외래어의 발음에서 [f]를 쓰는 것을 외국어 발음을 그대로 흉내내는 것으로 묘사하지만, 그것과는 약간의 거리가 있다. '펀드'를 영어의 fund처럼 [fʌnd]라고 발음하는 것이 아니라 '으' 음을 붙여서 [fʌndɯ]라고 발음한다. '펀드'의 보통 한국어 발음은 [pʰʌndɯ]인데 여기서 [pʰ]를 [f]로 대체하기만 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프랑스'는 [pʰɯɾaŋs"ɯ]라는 일반적인 발음에서 [pʰ]만 [f]로 대체한 [fɯɾaŋs"ɯ]로 발음한다. F 발음을 한다는 것 외에는 프랑스어의 [fʁɑ̃s]나 영어의 [fɹɑːns]에 특별히 가깝게 발음하지는 않는다.
이런 화자들은 원어에 [f]가 들어가는 외래어를 원어 발음대로 한다기보다는 한국어의 기본적인 음소 목록에 [f]를 추가하는 것이라고 분석할 수 있다.
다른 언어의 사례
전세계 언어의 음운 체계를 분석할 때 그 언어의 고유 어휘에는 쓰이지 않는데 외래어의 발음에만 쓰이는 음운을 흔히 찾을 수 있다. 한국어와 마찬가지로 [f] 음이 기본 음소가 아닌 언어들을 몇몇 알아보자.
필리핀어. 필리핀어는 타갈로그(Tagalog)라는 언어를 표준화한 필리핀의 국어이며 [f]나 [v] 음을 사용하지 않는다. 필리핀은 스페인(에스파냐)과 미국의 통치를 받은 적이 있어 스페인어와 영어에서 받아들인 어휘가 많은데, 원어의 [f]는 [p]로, [v]는 [b]로 대체한다. 스페인어의 fiesta는 필리핀어에서 piyesta 또는 pista이고 영어의 television은 필리핀어에서 telebisyon으로 받아들였다.
필리핀어에서 쓰는 로마 문자에는 F, V 등의 문자도 포함된다. 많은 이들이 스페인어 또는 영어 이름을 쓰기 때문이다. 발음 안내 사이트 Forvo.com에서 한 필리핀어 화자가 1965년에서 1986년까지 장기 집권한 페르디난드 마르코스(Ferdinand Marcos) 대통령의 이름을 발음하는 것을 들으니 [f] 발음을 분명히 하고 있다(발음 듣기). 그러니 필리핀어에서는 일반 외래어에는 원어의 [f]를 [p]로 대체하지만, 이름과 같은 특수한 경우에 [f]를 쓰기도 하는 듯하다.
핀란드어. 남서부 방언을 제외하면 핀란드어 고유 어휘에서는 [f]가 쓰이지 않는다. 대신 핀란드어에는 v로 표기하는 음이 있는데, [f]와 조음 위치가 같은 순치 접근음 [ʋ]이다. 이 [ʋ]는 [v]와 비슷하지만 마찰이 없어 [w]와 [v] 중간 음으로 들린다. 오래 전에 들어온 외래어에서 원어의 [f]는 보통 [ʋ]로, 어중에서는 때로 [hʋ]로 대체된다. 예를 들어 '커피'를 뜻하는 스웨덴어의 kaffe는 핀란드어에서 kahvi로 받아들였다.
하지만 더 최근 들어온 외래어에서는 원어의 [f]는 f로 표기하는데, 이 때 발음도 [f]로 하는 것이 원칙이다. 일상 언어에서 때로 f로 적은 것도 [ʋ]로 발음하기도 한다. '아스팔트'를 뜻하는 asfaltti, '유니폼'을 뜻하는 uniformu가 최근 들어온 외래어로서 f 표기를 쓰는 예이다. 이들은 때로 [f]를 [ʋ]로 대체한 발음을 반영해 asvaltti, univormu라고 쓰기도 한다.
일본어. 일본어에는 [f]음이 없지만 /h/가 /u/ 앞에 올 때, 즉 は행의 ふ에서 양순 마찰음 [ɸ]로 발음된다. 이 소리는 위아래 입술로 조음되는 것이 다를 뿐 [f]에 꽤 가까운 소리이다. ふ는 널리 쓰이는 헵번식 로마자 표기에서 fu로 표기하며 훈령식 표기와 일본식 표기에서는 hu로 표기한다. 일본어 고유 어휘에서 [ɸ]는 /u/ 앞에서만 발음될 수 있다.
역사가 오래된 외래어일수록 원어의 [f]가 /u/ 이외의 모음 앞에 올 때는 /h/ 또는 드물게 /p/로 대체했다. 포르투갈어의 confeito는 金米糖(kompeitō)가 되었으며 네덜란드어의 koffie는 コーヒー(kōhī), morfine는 モルヒネ(moruhine)가 되었다. 영어의 wafers는 ウエハース(wehās)로 받아들였다. 한국에서도 영어 발음을 직접 받아들인 '웨이퍼'보다 일본어를 거친 '웨하스'가 더 널리 쓰이는 듯하다.

하지만 더 최근에 들어온 외래어에서는 일본어 고유 어휘에서는 /u/ 앞에서만 쓰는 [ɸ]를 다른 모음 앞에서도 쓰고 가타카나로 ファ [ɸa], フィ [ɸi], フェ [ɸe], フォ [ɸo] 등으로 표기한다. 영어의 fight는 ファイト(faito), 프랑스어의 profil은 プロフィール(purofīru)가 되는 식이다.
이와 같은 사례들을 통해 최근에 들어온 외래어에 한해 원어의 음운 제약이 느슨해지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외래어의 발음을 위해 [f] 발음을 허용하는 경우도 일부 화자는 더 익숙한 다른 발음으로 대체하기도 해 새 음소로서의 지위는 불안정하다.
한국어에 [f] 발음을 추가하는 것은 바람직한가?
많은 한국어 화자들이 [f]를 외래어의 발음에 일상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하면 [f]도 제한적으로나마 한국어 음소로 간주해야 할 날이 올지도 모른다. 하지만 지금은 [f]를 섞어 쓰는 화자들마저 실제 [f]와 [pʰ]를 규칙적으로 구분하는 것 같지는 않다. [f]를 발음할 수 있다고 해서 [f]와 [p] 소리를 꼭 구별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외국어에 대한 웬만한 지식 없이는 언제 [f]를 써야 하는지 알기도 힘들다. 한글 표기로는 외래어의 원음이 [f]인지 [p]인지 구별 없이 'ㅍ'으로 적기 때문에 원어에서 [p]를 쓰는 경우에도 [f]를 쓰는 일도 드물지 않다. 테니스 중계를 하는 해설자가 '포인트(point)'를 발음하며 계속해서 [f] 발음을 쓰는 것을 본 적이 있다. '프로페셔널(professional)', '펠프스(Phelps)'처럼 원어에 [f]와 [p]가 섞인 경우는 더욱 실수가 많다.
어떻게 보면 [f] 발음은 원어의 발음을 존중해서 쓰는 것이 아니라 단지 외래어의 발음을 외국어답게 들리게 하기 위해서 무의식적으로 외래어의 'ㅍ' 발음에 무조건 사용하는 경향이 있는지도 모른다.
외국어 교육이 아무리 보급되었다 해도 한국어 화자 가운데 많은 이들은 [f] 발음을 하지 못한다. 또 한국어를 모어로 쓰는 사람이 외국어를 배워 유창하게 구사하는 경우도 해당 언어에서 [f]와 [p]를 혼동하는 실수를 흔히 본다. 이를 생각하면 [f]를 외래어 발음이라는 제한적인 용도로라도 한국어의 발음에 추가하는 것은 무리라는 생각이 든다. 외래어를 발음할 때에 원 발음에 최대한 가깝게 하려는 시도는 이해할 수 있지만, 대다수 언중이 발음하고 구별하기에 너무 낯선 발음을 써서 언어 생활에 혼란을 부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물론 위의 다른 언어 사례에서 본 것처럼 상황이 바뀔 여지가 없는 것은 아니다. 그렇지만 위들 언어는 [f]를 받아들인 발음을 표기하는 방식이 따로 있다. 필리핀어와 핀란드어는 f를 써서, 일본어는 フ를 써서 기존의 음운과 구별한다. 한글로 [f]를 기존 다른 발음과 구별하여 적게 되지 않는 이상 앞으로도 [f]가 한국어에서도 쓰이는 발음으로 인정되기는 힘들 것 같다.
덧글
지금까지 굳어진 관행을 바꾸는 것이 매우 어렵지 않을까 합니다.
저는 [f]건 [p]건 'ㅍ'으로 표기하고 똑같이 발음하는 표준 발음대로 하는 것이 혼란이 적다는 입장입니다.
외국어를 잘하는 것처럼 보이려고 영어 단어를 마구 섞어쓰는 이들이 있는 것처럼 [f] 발음을 혼용하는 것도 비슷한 의도로 하는지도 모르겠습니다. 그저 '있어보이려고' 약속된 한국어의 발음법을 어길 필요가 있을까요?
그러고보면 strike도 ㅅㅌ라이ㅋ...이라고 발음하는 거라고 하시기도...
어쨌든 영어 발음 참 힘듭니다. 하필 그렇게 발음하기 어려운 언어가 국제 공용어가 되어 전세계 사람들을 고생시키고 있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사실 어느 언어나 발음을 제대로 배우려면 어려운 것은 마찬가지인 것 같습니다.
머 제가 잘 해서 극복하는 수밖에 없지만 http://fischer.egloos.com/4207410 같이 발음하고 있다고 생각하면 원어민들 앞에서 얘기할 때 가끔은 등에 식은땀이....
그러다가 1950년대 최현배의 주도로 마련된 '들온말 적는 법'이란 외래어 표기법에서 [f], [v] 등을 나타내기 위해 이런 옛 자모와 비슷한 형태의 새 자모(실제로는 'ㅇㅂ', 'ㅇㅍ'과 같이 가로로 붙여 쓴 것)를 도입하는 시도를 했습니다. 이 표기법은 많은 호응을 얻는데 실패했지만 비슷한 주장은 계속되었고, 아무래도 사람들이 [ɸ], [β]보다는 [f], [v]를 더 잘 알다보니 중세 국어 한자음 표기에 사용된 순경음 자모가 [f], [v]를 나타냈던 것으로 와전된 것 같습니다.
일본어 표기에서 Phone의 표기는フォン /H(u)onn/의 가타카나 표기와 같습니다.
이것이 변화되어서 ホン/Honn/으로만 표기하게 된 거죠.
즉, 변화 자체가 외래어의 일본어 발음화로 인해 축약 표기가 되었다고 여기시면 됩니다. 그리고........사족을 굳이 달자면..... 표기되는 글자수가 많기도 하구요.
저도 바로 며칠 전에 아나운서가 fan을 [팬] 대신 [fen]으로 발음해서 깜짝 놀란 적이 있는데, 우연히 비슷한 시기에 포스팅을 하시는군요. ^^ 학부 꼬꼬마 시절에도 아나운서가 커피의 ㅍ를 f로 발음해서 놀랐던 적이 있는데, 언중이야 그렇다 쳐도 표준 발음 훈련을 받는 아나운서가 외국어와 외래어를 구분 못한다는 게 영 석연치 않더군요.
저도 모음 장단을 비롯한 표준 발음 훈련을 받는 아나운서들이 이런 발음을 하는 것이 신기하고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ㅎㅎ
그리고 이게 [f]가 없는 언어 화자한테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인지는 모르겠으나 한국인은 특히 [p]를 [f]로 잘못 발음하는 과잉수정 현상이 꽤 많은데 한번 연구해 볼 만한 주제겠죠.
여러 실험에서도 나타나듯이 [f]나 [θ] 같은 마찰음이 없는 언어의 화자를 대상으로 실험을 하면 [s]로 들리는 경우도 있음을 알고는 있었는데 전에 누구랑 통화하다 상대방이 팩스의 f를 발음하니 섹스로 들렸던 것으로 보아 적어도 아직까지 한국인은 함부로 f 발음을 하면 안 될 겁니다^^
인도네시아어와 타갈로그어처럼 오랜 기간 동안 [f]를 음소로 가진 서양어와 접촉한 언어도 고급어휘는 f가 철자상으로만 남아있긴 해도 telpon, telepono처럼 일상어휘는 이미 p로 쓰고 있듯이 한국어에 과연 얼마나 외래어가 유입될진 몰라도 [f]가 독립적인 음소로 자리잡기는 힘들겠고 그냥 어설픈 잘난 척의 관행으로만 남으리라 봅니다.
보기에 힌디어가 있어서 하나 짚고 넘어가자면 상당수 인도 언어들이 파열음을 네 쌍으로 보유하기 때문에 [f], [x] 따위는 오로지 페르시아어, 아랍어, 영어 등 외래어에서만 나타나고 아직 음소의 지위를 갖는다 보긴 어려우며 흔히들 유기 파열음 [ph], [kh]로 대체합니다.
[p]를 [f]로 잘못 발음하는 과잉수정이 다른 언어에서도 나타나는지 궁금해집니다.
오, 한국인 앞에서 함부로 f 발음을 하면 안 되는 이유가 있군요. ^^
힌디어에 대한 지적 감사합니다. 확인하지 않고 기억대로 썼더니 이런 실수가... 본문 수정했습니다. 힌디어의 [f]는 독립적인 음소로 보기는 힘드니 필리핀어나 인도네시아어와 비슷한 경우가 되겠네요. 그러고 보니 페르시아어계 어휘가 많은 우르두어는 [f], [x] 등을 잘 구별하지만 힌디어는 그렇지 않는다는 것을 읽은 기억이 납니다.
그런가 하면 '헤드라인 뉴스'를 아나운서들이 '헤들라인 뉴스'라고 발음하는 일도 많습니다. 신문 '헤드라인'이라고 할 때는 누구나 '헤들라인'이 아닌 '헤드라인'이라고 하면서 말입니다.
'ㅍ' 발음도 문제지만, 이 경우에도 의미상 혼란을 가져오는 경우가 상당히 많더군요. 실제 영어에서 R로 쓰는 경우인데도 받침 ㄹ을 붙여서(설측음으로 만들어) L인 것처럼 혼동을 주기도 하고, L로 발음되는 곳에선 또 설전음 ㄹ로 발음하기도 하고, 아주 제멋대로였습니다.
두음 법칙 때문에 어두에 'ㄹ'이 오는 경우가 없다가 외래어 표기에서 어두의 'ㄹ'을 허용하게 되니 이를 어떻게 발음하느냐에 대한 혼란이 있는 것 같은데 적어도 대한민국에서는 원어의 발음과 상관없이 설측음으로 발음하는 경우가 꽤 흔한 것 같습니다. '라인' 같은 경우 원어에서도 [l]이기 때문에 '헤드라인'과 같은 복합어에서도 설측음 발음을 유지하려 [헤들라인]이라고 발음하는 것일지도... 이 경우도 참 분석해볼 거리는 많겠습니다.
아마도 한글을 금이야옥이야 하는 일부분들께는 용납이 안가는 일이겠지요 -_-;
언어란것이 장기적 관점에서는 당연히 변하는 것이라는 점에는 다들 공감하지만 바뀐 현실을 반영하여 막상 바꾸자고 하면 생각을 달리하는 분들이 많더군요
저같은 생각을 가진 사람으로서는 좀 답답해요
모르겠습니다만, 양쪽 다 간단한 문제가 아닙니다.
발음이 아니라 글로써 구별하고자 한다면, f에 해당하는 자모를 하나 추가해야 할텐데, 한글의 <모아쓰기>때문에 ㆄ같은 거 하나 추가해서 끝나는게 아니라, ㆄ가 포함되는 모든 음절글자를 다 새로 만들어야 하니까요. 아 악앆앇안앉않.... 이런 글자에서 ㅇ대신 ㆄ이 들어가는 글자를 다 새로 만들어야 합니다.
발음으로 구별하자고 한다면 문제가 더 심각한데, f소리는 원래 한국어 소리에 없는 체계입니다. 없는 소리를 인위적으로 구별하자는건 하고 싶다고 되는 문제가 아닙니다. 지금 우리나라에서 영어를 배운다고 해서 한국어 소리체계에 없는 f소리를 맘대로 집어넣을 수도,구별해낼 수도 있는게 아니죠.
물론 먼뒷날에 영어와의 접촉이 점점 많아져서 f소리를 전국민이 다 확실히 구별하게 된다면 모를까 지금은 시기상조로 보이네요.
한글에 자모를 추가하는 것은 활자가 없는 시대라면 간단한 일이지만 지금과 같은 전산화 시대에는 어렵습니다. 로마 문자도 중세에 j, w 등 새로운 글자가 추가되고 글자형에 많은 변화를 겪다가 인쇄술 도입 이후 지금의 형태로 상당 부분 굳어졌습니다.
만약 ㆄ을 사용한다면 이론상 지금도 첫가끝 방식의 유니코드 구현이 가능하고 키보드 입력도 노력만 한다면 비교적 간단히 해결될 문제이지만 역시 ㆄ이 들어가는 글자를 제대로 구현할 글꼴이 없다는 것이 최대의 걸림돌입니다. ㆄ는 한자 표기에서만 쓰였기 때문에 기존 옛 한글 글꼴에서도 잘 지원하지 않습니다. 새굴림을 확인해봤더니 , 즉 '푸, 푼'에 대응하는 순경음만 포함하고 있더군요. 저는 늘상 하는 얘기이지만 글꼴 개발에는 일반인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막대한 인력과 시간의 투자가 필요합니다. 당장 컴퓨터에 설치된 한글 글꼴이 전부 무용지물이 되고, 글꼴 개발 회사들이 몇 달 걸려 만들어서 판매하는 몇 종의 '확장 한글 글꼴'만 사용할 수 있게 된다고 생각해보세요.
표기 문제가 해결된다면 발음 문제는 의외로 그리 크게 신경 쓰지 않아도 될 수도 있습니다. 발음을 구별하는 새로운 철자를 익히면 실제 발음 구별은 잘 못하더라도 어느 단어에서 f 발음을 써야되는지 정도는 학습할 수 있겠죠. '애'와 '에' 발음을 구별하지 못하더라도 맞춤법에서는 구별하는 것처럼... 한국어 화자 모두가 f 발음을 확실히 구별하기를 기대하기보다는 그 정도가 현실적일 겁니다.
Strike while the iron is hot.
straɪk waɪl(hwaɪl) ði aɪɝn ɪz(ɪz) hɑt.
스트라익 와일 `디 아이언~ 이즈 핫 .
그리고 한국어를 모국어로 쓰는 사람이 영어로 말할 때 한국어에서 유래한 영어 어휘를 어떻게 발음해야 할지에 대한 고민도 이와 관계가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이를테면 김치를 '김치'로 발음해야 할 지, 'kimchi'로 발음해야 할 지 그런 것이요. 외국인들이 하는 것을 보면 대체로는 자신의 모국어에서 유래한 어휘는 모국어 방식으로 발음하더군요. 한국어로 떠뜸떠뜸 말하던 외국인이 햄버거, 엘리베이터 부분에서만 hamburger, elevator를 유창하게 발음하는 것을 보면 좀 재미있기도 하더라고요. ^^;
한국어의 경우 r, th, v는 한국어의 음운 체계를 너무 벗어났다고 생각하는 이가 대부분이겠지만 f 정도는 원 발음 흉내를 위해 쓸 수 있다고 생각하는 이들이 생긴 것 같습니다. 영어의 경우 화자에 따라 [x], 프랑스어의 비강 모음 등 영어에는 원래 없는 발음도 외래어 발음에 쓰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ㆄ> 요 녀석...이 예전에 F 발음으로 씌였다가 도태되었다고 알고 있는데..
뭐 그런식으로 외국어나 외래어를 100% 표현할 수 있게끔 수정하는 것도 글로벌화 시대에 나쁘지 않다고 생각을 하긴 합니다...ㅎㅎ;;
좋은 글 잘 봤습니다....ㅎ
일단 제일 중요한 것은 옛한글을 운영체제 수준에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고 어떤 방향으로 갈지는 언중에 맡기면 될 것 같습니다.
영어의 f,v 등을 표기하는것, 이에 관해 작년 이맘때쯤 왠 기하학자가 한 말이 논란이 된 적이 있었죠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20&aid=0000432269) -그 얘기가 안나와서 좀 의아해 하긴 했습니다.
뭐 일본에서도 ヴ라는 글자가 추가 되었다가 (일본어가 그래도 한국어보다는 전산화에서 어려움이 적었을텐데요) 묻혔었죠.
딴소리지만 l과 r도 말예요, 전 외래어 표기법에서 r을 ㄹ+[w]로 취급해서 '롸이트(right)'나 '브뤽스(BRIX)' 따위로 표기하지 않을까 궁금했어요.
그것에 연장선 상에서, f 나 v도 자음을 추가 할게 아니라 외래어 표기법을 바꿔서 '프흐레임(frame)' 따위로 구별하는건 어떨까 싶네요. 물론 발음은 더 멀어지지만 어차피 외래여 표기법 제대로 지켜지지도 않는데 말예요 'w'. 하긴 또 애꿎은 'ㅡ'모음만 추가해서 안그래도 오스트쿠스트스크트(ostkustskt) 때문에 열나는데 기름 끼얹는 격이 되려나요 -0-;
f가 어중에 있을때 ㅂㅍ 정도로 쓰면 괜찮을거 같은데요 (ㄹㄹ처럼)
ex) 옵피스(office)
외국어의 소리를 한글로 적을 때 외국어에서는 다른 음으로 치는 것들이 같은 한글 자모로 옮겨지는 경우가 흔합니다. 외국어를 아는 이들은 아무래도 f와 p를 똑같이 'ㅍ'으로 적고 어두의 l과 r를 똑같이 'ㄹ'로 적는 것을 탐탁치 않게 생각하여 새로운 자모를 추가하거나 여러 자모의 조합을 사용해 이들을 구별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새로운 자모를 추가하는 것도 쉽지 않고 여러 자모의 조합을 사용하는 것도 간단한 해결책이 아닙니다. 외래어 표기에서 '으' 모음을 많이 붙여 쓰는 것에 대해서도 반발하는 이들이 많지 않습니까?
영어의 r 발음의 경우 원순성이 강해 '롸이트'와 같은 표기를 생각할 수도 있지만 다른 대부분의 언어에서 r는 그런 원순성이 없으며 영어도 지역에 따라 r의 원순성에 차이가 있습니다. 또 r 뒤에 [a, e, i] 등이 오면 '롸, 뤠, 뤼'로 적는다고 해도 [o, u]가 오면 어떻게 적을지의 문제도 쉽지 않습니다.
어중의 'ㅂㅍ'은 보통 말하기에서 'ㅍ'과 구별되지 않는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입니다. '합판'을 [합.판]처럼 일부러 끊어서 말하지 않는 한 '하판'과 발음 구별이 되지 않습니다.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그래서 일반적으로 어중의 'ㅂㅍ'와 같은 표기를 허용하지 않습니다. 또 'ㅂㅍ'와 같은 표기가 허용된다면 f와 같은 마찰음이 아니라 어중의 겹자음 [pp]에 적용하는 것이 타당할 것입니다. 어중의 [l]을 'ㄹㄹ'으로 적는 것은 한국어에서 어중의 'ㄹㄹ'이 실제 [ll]로 발음되기 때문입니다.
http://calvin07.egloos.com/760746
까롤로입니다.
필명을 바꾸고 새 블로그를 열었습니다.
2년전 썼던 논문을 여기에 올립니다.
http://benzenekim.tistory.com/3
P는 ㅍ이고
한글의 조성원칙에 따라 구상하더라도 결국 앞의 댓글에서 여러분이 제안하신 말씀대로 결국 새 자모를 창조해야 되는 데요. 이런 추가 자음은 외래어를 적을 때만 쓰여질 것인데 훈민정음의 제자원칙을 지켜 만드는 것보다 직감적인 요소가 더 중요하지 않을까 합니다. 그래서 이들 자음을 표기할 때 기존 한글자음과 이질적이지도 않고, 혼동되지 않고, 획수도 많지 않고, 직감적으로 발음이 연상되는 형태로 접근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제안하는 자음은 다음과 같습니다:
f 는 F 예: fire Fㅏ 이 어, fighting Fㅏ 이팅
v 는 V 예: victory Vㅣ+ㄱ 토리, volvo V+ㅗ+ㄹ V+ㅗ
r 는 ㄹ에서 마지막 획에 꼬리를 올리는 형태
(또는 r 를 위해 ㄹ 를 그대로 쓴다면 l 을 위해서는 L 를 좌우를 바꿔놓은 형태)
z 는 삼각형 (훈민정음에서 반치음 모양)
f v 는 주로 알파벳을 사용하는 문자나 언어를 표기할 때 쓰여질 자모일텐데 그 알파벳 형태가 그의 발음을 바로 연상하게 되는 것이고, r 는 혀가 떨리는 발음이므로 l과 구별하여 꼬리를 다는 형태로 표현한 것임. 그러나 ㄹ 자체가 그런 모습이기에 ㄹ 을 r 에 대응하는 자음에 더 적합하다고 할 수도 있는데 여기에 더 공감한다면 l 에 대응하는 자음은 L 을 좌우로 뒤집어 놓은 형태가 가능하다는 생각임.
z 는 z 를 그대로 쓸 수도 있겠으나 z 가 ㄹ 흘림자 또는 ㄷ 필기체와 혼동될 수 있다는 것이 문제임.
영어 발음 기호를 사용한 한국 발음이요!! 제가 정말 필요해서요..ㅠ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