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기에의 수도는 브뤼셀이다. 벨기에 북부에서는 네덜란드어, 남부에서는 프랑스어를 쓰는데 네덜란드어와 프랑스어의 사용자 비율은 대략 3:2이다. 소수이지만 동쪽에는 독일어 사용자도 있으며 세 언어가 모두 공용어이다.
지도를 보면 수도 브뤼셀은 네덜란드어와 프랑스어 사용 지역 간의 경계선 북쪽에 있다. 하지만 브뤼셀과 수도권 지역에서는 프랑스어 사용자가 대다수이며 네덜란드어와 프랑스어가 둘 다 공용어이다.
브뤼셀은 프랑스어로 Bruxelles이라고 쓰며 발음은 [bʁysɛl]이다. 발음에 따라 한글로 표기하면 '브뤼셀'이다. 우리야 '브뤼셀'이라는 표기에 워낙 익숙하니 전혀 이상하게 여길 일이 아니다.
그런데 벨기에 남쪽의 이웃 프랑스에서는 Bruxelles을 [bʁyksɛl], 즉 '브뤽셀'이라고 발음하는 경우가 많다. 프랑스어에서 x라는 철자는 [ks]로 발음되는 경우가 많으니 Bruxelles이라는 철자를 보고 발음이 '브뤽셀'이라고 짐작하는 것이다.
프랑스에서도 엄격하게는 '브뤽셀'은 틀린 발음으로 간주되고 현지에서 쓰는 발음인 '브뤼셀'을 옳은 발음으로 쳐주는 것 같다. 고유 명사를 포함한 프랑스어 사전에도 맞는 발음은 '브뤼셀'이라고 소개하고 있으며 프랑스어에서 틀리기 쉬운 것을 소개하는 책에도 '브뤽셀'이란 발음은 틀렸다고 친절하게 설명해주고 있다. 프랑스 방송의 아나운서들도 '브뤼셀'이라고 발음한다는 이야기도 들었다.
하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일부 올바른 언어 사용에 신경을 쓰는 이들, 한국으로 치면 '짜장면' 대신 '자장면'을 고집하는 이들의 이야기인 것 같다. 개인적으로 만난 프랑스인들은 모두 벨기에의 수도를 '브뤽셀'이라고 불렀다. 방송에서도 '브뤽셀'이란 발음을 쉽게 들을 수 있다. 심지어 '김대중' 같은 한국 이름도 한국어의 발음에 가깝게 발음하는 등 고유 명사 발음에 평소 각별한 신경을 쓰는 라디오 프랑스 앵테르나시오날(Radio France Internationale)에서도 '브뤽셀'이란 발음을 들을 수 있다.
철자는 알아도 발음은 모른다
'브뤼셀' 혹은 '브뤽셀'의 사례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외국의 지명을 한글로 표기할 때 현지 발음을 알기 위해 같은 언어권의 사람들에게 확인하기만 하면 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한국어에서 '브뤼셀'이라는 표기가 굳어진 것은 네덜란드어 이름인 Brussel ([ˈbrʏsəl], '브뤼설')이나 결정적으로 영어 이름인 Brussels ([ˈbrʌs(ə)lz], '브러슬스')에서 [ks] 발음이 나지 않는 덕분인지도 모르지만 어쨌든 올바른 발음에 따른 표기가 되었다. 만약 제대로 확인하지 않고 프랑스에서 들리대로 '브뤽셀'이라고 표기를 정했더라면...
한글로 쓰인 지명은 자음동화('선릉'은 [설릉]이냐 [선능]이냐), 사잇소리 첨가('학여울'은 [항녀울]이냐 [하겨울]이냐) 등 일부 음운 현상을 빼면 발음을 예측하기가 쉽다. 한국어 발음과 한글 철자의 관계가 꽤 규칙적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외국어 가운데는 표기만으로는 발음을 제대로 예측하기 힘든 예가 많다. 비중이 큰 외국어 가운데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가 여기에 해당한다. 그래서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이 세 언어에 대해서는 철자 대신 발음 기호(국제 음성 기호)를 보고 한글 표기를 정하도록 하고 있다.
영어 지명의 발음은 영어를 하는 사람에게 확인하기만 하면 되고, 프랑스어 지명의 발음은 프랑스어를 하는 사람에게 확인하기만 하면 되는 것이 아니다. 실제 발음을 알만한 사람에게 확인해야 한다.
영국 사람 가운데 미국 아이오와 주의 Des Moines ([dɪˈmɔɪn], '디모인')을 제대로 발음하는 사람은 얼마나 될까? 주 이름인 Arkansas ([ˈɑrkənsɔː], '아컨소', 표준 한글 표기는 '아칸소')의 발음도 잘 모르는 이가 꽤 될 것 같다. 반대로 아마 미국 사람 가운데 영국의 Warwick ([ˈwɒrɪk], '워릭')을 제대로 발음하는 사람을 찾기 힘들 것이고 Edinburgh ([ˈed(ə)nb(ʌ)rə], '에든버러')마저도 발음을 잘못 아는 이가 상당할 것 같다. 오스트레일리아의 Brisbane ([ˈbrɪzbən], '브리즈번')의 발음을 오스트레일리아를 잘 모르는 영국인이나 미국인이 제대로 알고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기도 어렵다.
잘 알려진 지명이 아니면 그 나라 안에서도 발음을 잘 모르기 쉽다. 프랑스 사람들은 그 지방 출신이 아니면 자국의 Auxerres ([osɛʁ], '오세르'), Metz ([mɛs], '메스')도 '옥세르', '메츠'로 잘못 발음하는 경우가 많다. 철자를 보고 발음을 얼렁뚱땅 맞추는 것이다. 프랑스 동부의 독일어에서 유래한 지명, 미국 동부나 오스트레일리아의 네덜란드어에서 유래한 지명 같은 경우 철자가 어찌나 생소한지 외부인들은 올바른 발음을 절대 짐작 못하는 것이 많다. 지명의 발음이 워낙 불규칙적이니 지역 토박이들은 주변의 지명을 제대로 발음하는 법을 안다는 것을 큰 자부심으로 삼는다.
그래서 외국어 지명의 한글 표기를 정할 때는 이런 지명들의 올바른 발음을 알려주는 지명 사전이 유용하다. 아쉽게도 인터넷에서 검색할 수 있는 지명 사전은 대부분 발음을 알려주지 않고 있다. 그래도 나라 별로, 주 별로, 군 별로 지명의 발음을 알리는 사이트는 꽤 많이 찾을 수 있다. 맛보기로 몇 개만 소개한다. 개인 홈페이지의 일부인 것도 있어 얼마나 믿을만한 자료인지는 모르지만 이들 언어에서 지명의 올바른 발음을 알아내기가 얼마나 힘든지 보여주는데 부족함이 없을 것이다.
The Columbia Gazetteer of the World Online (영어, 유료 회원가입 필요)
미국 매사추세츠 주의 지명 (영어)
미국 메릴랜드 주의 지명 (영어)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 주의 지명 (영어)
프랑스 알자스 지방의 지명 (프랑스어)
지도를 보면 수도 브뤼셀은 네덜란드어와 프랑스어 사용 지역 간의 경계선 북쪽에 있다. 하지만 브뤼셀과 수도권 지역에서는 프랑스어 사용자가 대다수이며 네덜란드어와 프랑스어가 둘 다 공용어이다.
브뤼셀은 프랑스어로 Bruxelles이라고 쓰며 발음은 [bʁysɛl]이다. 발음에 따라 한글로 표기하면 '브뤼셀'이다. 우리야 '브뤼셀'이라는 표기에 워낙 익숙하니 전혀 이상하게 여길 일이 아니다.
그런데 벨기에 남쪽의 이웃 프랑스에서는 Bruxelles을 [bʁyksɛl], 즉 '브뤽셀'이라고 발음하는 경우가 많다. 프랑스어에서 x라는 철자는 [ks]로 발음되는 경우가 많으니 Bruxelles이라는 철자를 보고 발음이 '브뤽셀'이라고 짐작하는 것이다.
프랑스에서도 엄격하게는 '브뤽셀'은 틀린 발음으로 간주되고 현지에서 쓰는 발음인 '브뤼셀'을 옳은 발음으로 쳐주는 것 같다. 고유 명사를 포함한 프랑스어 사전에도 맞는 발음은 '브뤼셀'이라고 소개하고 있으며 프랑스어에서 틀리기 쉬운 것을 소개하는 책에도 '브뤽셀'이란 발음은 틀렸다고 친절하게 설명해주고 있다. 프랑스 방송의 아나운서들도 '브뤼셀'이라고 발음한다는 이야기도 들었다.
하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일부 올바른 언어 사용에 신경을 쓰는 이들, 한국으로 치면 '짜장면' 대신 '자장면'을 고집하는 이들의 이야기인 것 같다. 개인적으로 만난 프랑스인들은 모두 벨기에의 수도를 '브뤽셀'이라고 불렀다. 방송에서도 '브뤽셀'이란 발음을 쉽게 들을 수 있다. 심지어 '김대중' 같은 한국 이름도 한국어의 발음에 가깝게 발음하는 등 고유 명사 발음에 평소 각별한 신경을 쓰는 라디오 프랑스 앵테르나시오날(Radio France Internationale)에서도 '브뤽셀'이란 발음을 들을 수 있다.
철자는 알아도 발음은 모른다
'브뤼셀' 혹은 '브뤽셀'의 사례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외국의 지명을 한글로 표기할 때 현지 발음을 알기 위해 같은 언어권의 사람들에게 확인하기만 하면 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한국어에서 '브뤼셀'이라는 표기가 굳어진 것은 네덜란드어 이름인 Brussel ([ˈbrʏsəl], '브뤼설')이나 결정적으로 영어 이름인 Brussels ([ˈbrʌs(ə)lz], '브러슬스')에서 [ks] 발음이 나지 않는 덕분인지도 모르지만 어쨌든 올바른 발음에 따른 표기가 되었다. 만약 제대로 확인하지 않고 프랑스에서 들리대로 '브뤽셀'이라고 표기를 정했더라면...
한글로 쓰인 지명은 자음동화('선릉'은 [설릉]이냐 [선능]이냐), 사잇소리 첨가('학여울'은 [항녀울]이냐 [하겨울]이냐) 등 일부 음운 현상을 빼면 발음을 예측하기가 쉽다. 한국어 발음과 한글 철자의 관계가 꽤 규칙적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외국어 가운데는 표기만으로는 발음을 제대로 예측하기 힘든 예가 많다. 비중이 큰 외국어 가운데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가 여기에 해당한다. 그래서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이 세 언어에 대해서는 철자 대신 발음 기호(국제 음성 기호)를 보고 한글 표기를 정하도록 하고 있다.
영어 지명의 발음은 영어를 하는 사람에게 확인하기만 하면 되고, 프랑스어 지명의 발음은 프랑스어를 하는 사람에게 확인하기만 하면 되는 것이 아니다. 실제 발음을 알만한 사람에게 확인해야 한다.
영국 사람 가운데 미국 아이오와 주의 Des Moines ([dɪˈmɔɪn], '디모인')을 제대로 발음하는 사람은 얼마나 될까? 주 이름인 Arkansas ([ˈɑrkənsɔː], '아컨소', 표준 한글 표기는 '아칸소')의 발음도 잘 모르는 이가 꽤 될 것 같다. 반대로 아마 미국 사람 가운데 영국의 Warwick ([ˈwɒrɪk], '워릭')을 제대로 발음하는 사람을 찾기 힘들 것이고 Edinburgh ([ˈed(ə)nb(ʌ)rə], '에든버러')마저도 발음을 잘못 아는 이가 상당할 것 같다. 오스트레일리아의 Brisbane ([ˈbrɪzbən], '브리즈번')의 발음을 오스트레일리아를 잘 모르는 영국인이나 미국인이 제대로 알고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기도 어렵다.
잘 알려진 지명이 아니면 그 나라 안에서도 발음을 잘 모르기 쉽다. 프랑스 사람들은 그 지방 출신이 아니면 자국의 Auxerres ([osɛʁ], '오세르'), Metz ([mɛs], '메스')도 '옥세르', '메츠'로 잘못 발음하는 경우가 많다. 철자를 보고 발음을 얼렁뚱땅 맞추는 것이다. 프랑스 동부의 독일어에서 유래한 지명, 미국 동부나 오스트레일리아의 네덜란드어에서 유래한 지명 같은 경우 철자가 어찌나 생소한지 외부인들은 올바른 발음을 절대 짐작 못하는 것이 많다. 지명의 발음이 워낙 불규칙적이니 지역 토박이들은 주변의 지명을 제대로 발음하는 법을 안다는 것을 큰 자부심으로 삼는다.
그래서 외국어 지명의 한글 표기를 정할 때는 이런 지명들의 올바른 발음을 알려주는 지명 사전이 유용하다. 아쉽게도 인터넷에서 검색할 수 있는 지명 사전은 대부분 발음을 알려주지 않고 있다. 그래도 나라 별로, 주 별로, 군 별로 지명의 발음을 알리는 사이트는 꽤 많이 찾을 수 있다. 맛보기로 몇 개만 소개한다. 개인 홈페이지의 일부인 것도 있어 얼마나 믿을만한 자료인지는 모르지만 이들 언어에서 지명의 올바른 발음을 알아내기가 얼마나 힘든지 보여주는데 부족함이 없을 것이다.
The Columbia Gazetteer of the World Online (영어, 유료 회원가입 필요)
미국 매사추세츠 주의 지명 (영어)
미국 메릴랜드 주의 지명 (영어)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 주의 지명 (영어)
프랑스 알자스 지방의 지명 (프랑스어)
덧글
어떤 벨기에인이 쓴 블로그에서는 프랑스와 퀘벡(캐나다의 프랑스어 사용 지역) 사람들이 브뤼셀을 비롯한 벨기에 지명들을 잘못 발음한다고 무척 불만이네요. 안트베르펜(Antwerpen)의 프랑스어 이름인 Anvers는 s 발음까지 해야 되는데 프랑스인들은 안 한다고 합니다. 자기가 '파리'(Paris)를 남의 나라 이름이라고 '파리스'로 발음하면 좋겠냐고 묻네요. http://sammybabyjunior.unblog.fr/2008/02/26/bruxelles-prononce-bruksel-ou-bruxelles-prononce-brusselles/
그러고 보면 독일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사용자가 대부분인 스위스에서 일부 산골에서 쓰는 지역 언어 로망슈어를 제4의 공용어로 격상시킨 것은 '우리도 독자 언어가 있다'는 것을 강조하고 싶어서였겠죠. 로망슈어와 비슷한 지역 언어는 국경 너머 이탈리아에서도 쓰이지만, 거기서는 공용어 지위를 기대하기 힘듭니다.
자기 이름을 잘못 발음하는 것을 듣는데 익숙한 사람은 제대로 발음해주면 참 고맙게 생각하겠지요.
솔직히 저라도 저게 영국의 지명인 줄 알았더라도 무의식중에 대충 로테르담이라고 하고 읭? 했을 것 같습니다.
예, Kerr 같은 성은 사람에 따라 '커', '카', '케어'로 다양하게 발음합니다.
예컨대 Alsace의 s를 [z]로 발음하는 것도 독어의 영향이듯
불어 발음을 추측하기도 애매하고 뭐 그럴 때가 많습니다.
이를테면 Wenger 같은 이름의 g를 독어처럼 또는 불어처럼 할지 아리송하거든요.
불어 철자가 복잡한 것도 같지만 규칙도 있기에 일반명사는 사실 그리 안 어려우나
고유명사로 들어가면 참으로 헷갈리죠.
Wenger를 프랑스어 방송에서 발음할 때는 [g] 발음을 합니다. 독일어에서는 아마 안하겠죠? 하지만 외래어 표기법에서 독일어 ng에는 [g] 발음이 나지 않더라도 'ㄱ'을 덧붙이는 규정이 있으니 한글로 쓸 때에는 'ㄱ'이 들어가야 할 겁니다. 프랑스어 발음을 따르자면 아마 '벵게르', 독일어 발음을 기준으로 삼으면 '벵거'가 되는데, 참 애매하죠.
멕시코도 원래 스페인어로는 '메히꼬'라고 해야죠.
그러나 브뤼셀은 프랑스어 지명이니 프랑스인들이 잘못 발음하고 있다고 하는 것입니다. 미국인들이 영어 지명인 영국의 레스터(Leicester)를 '리세스터'라고 발음한다면 이는 발음을 몰라 잘못 발음하는 것이고, 프랑스인들이 브뤼셀을 '브뤽셀'이라고 발음하는 것도 이와 마찬가지라는 것입니다.
디 뜨로와, 샌 디에이고, 오클라호마, 뉴욕 등등.
그렇지만 열시 불어지명은 어려워요.
불어구나..싶으면서도 어떻게 읽어야 할까? 싶은....;
그런데 우리나라는 우리말로 된 지명이 딱 하나밖에 없다죠?
이렇게 되버린 이유는 통일신라 이후로 지명을 정리하면서 긴 우리말 지명을 무조건 중국식에 따라 2글자로 짤라버렸고, 한자의 음과 새김을 이용한 우리말 표기방법이 잊혀졌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닭바위란 우리말지명이 있었다면, 예전에는 鷄巖라고 쓰고, 닭바위라고
읽었는데, 지금은 그냥 음만 따서 계암이라고 읽고 있는 경우가 아주 많습니다.
大田도 원래 지명은 한밭이던 것이 일본인들이 자기들의 한자읽는 법에 맞춰서 한자를 쓴건데, 우리가 음만 따다 읽으니,대전이 된 것이지요.
매형은 프랑스말을 쓰더군요..
아직 가본적은 없습니다. 안타깝게도 매형이랑 누나가. 프랑스에 살고 있어서요 ^^
여튼 재미있는 글이네요..
R와 L을 혼동하여 외국어 이름의 철자를 잘못 적는 것은 사실 그리 드문 일도 아니라서...
Norwich 같은 영, 미에 다 있는 지방의 경우는 아마 미국과 영국의 다른 지방에서 다 다르게 발음한다고 들었어요 (노위치, 노리치)
글고 영국 지명에도 외래어 말고도 옛날 잉글랜드어 발음을 그대로 간직한 지명들이 많아서, 늘 확인해야 해요 흑흑. Southwark (써덕), Reading (레딩), Bath (바-쓰) 이런 식.. 웨일즈어나 아일랜드, 스코틀랜드 어 지명은 말할 것도 없죠. ㅠㅠ
영국 지명 가운데 철자와 발음이 상당히 차이나는 것이 많은데 이것은 옛 발음을 간직한 것이 아니라 옛 철자를 간직했는데 발음이 바뀐 경우입니다. Southwark도 처음에는 south-wark처럼 발음했겠지만 오랜 시간이 흐른면서 발음이 단순화된 것입니다. Reading의 첫부분은 고대 영어의 rēad에서 온 듯합니다. 이 고대 영어 단어는 오늘날 red가 되었지만 지명에서는 옛 철자가 남아있는 것입니다. Bath의 모음이 '아' [ɑː]인 것은 잉글랜드 남부에서 예전의 '애' /æ/음이 일부 자음 앞에서 발음이 바뀐 결과로 보통 명사 bath도 RP를 비롯한 영국 여러 방언에서 똑같이 발음됩니다.